삼족오(三足烏) - 국학원의 상징
삼족오(三足烏)
고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의 신으로 널리 숭배를 받은 전설의 새이다.
일부에서는 삼족오의 '오'가 까마귀가 아닌 단순히 '검은 새'를 의미한다고도 한다.
삼족오는 3개의 다리가 달려있는 까마귀를 의미한다.
그 이유를 들자면 여러 가지가 있는데, 태양이 양(陽)이고, 3이 양수(陽數)이므로
자연스레 태양에 사는 까마귀의 발도 3개라고 여겼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삼신일체 사상(三神一體思想), 즉 천(天)·지(地)·인(人)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또 고조선시대의 제기로 사용된 삼족정(三足鼎)과 연관시켜
‘세 발’이 천계의 사자(使者), 군주, 천제(天帝)를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삼족오의 발은 조류의 발톱이 아니라 낙타나 말 같은 포유류의 발굽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한민족의 새로운 탄생과 지구 경영을 위하여
한국 역사 속에 나타난 삼족오
한국에서는 씨름무덤(각저총), 쌍영총, 천왕지신총 등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삼족오가 많이 그려져 있다.
‘삼국유사’의 기이편(紀異扁)에는 소지왕 10년에 까마귀가 나타나
사람에게 해야할 일이나 일어날 일을 미리 알려주는 영험한 존재로 등장한다.
일본의 기원과 관련이 깊은 신라의 ‘연오랑세오녀’ 전설에서도 삼족오가 등장하는데,
연오랑(燕烏郞)과 세오녀(細烏女)의 이름을 자세히 살펴보면
둘 다 이름에 까마귀 오(烏)자가 붙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이 까마귀를 빛의 상징으로 보았다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의천의 가사에서 보이며, 조선시대에는 일부 묘석에 삼족오가 새겨져 있다.
삼족오(三足烏)
삼족오는 태양의 새, 하늘을 연결하는 새로 한민족이 천지인(天地人) 사상을 가진
문화민족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구려 벽화나 유물에 삼족오가 태양 속에 그려져 있다.
한민족의 국학 교육기관인 국학원의 공식 상징물이기도 하다.
민족교육의 전당 국학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284-11 (지산리) 국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