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또 하나의 애국가(愛國歌)!! "아리랑 아라리요" 페스티벌
    수원사랑/문화예술(文化藝術) 2012. 6. 2. 22:51

    또 하나의 애국가(愛國歌)!! "아리랑 아라리요" 페스티벌

     

    2012년 6월 2일 저녁 경기도 수원시 우만동소재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천지진동 페스티벌 또 하나의 애국가 아리랑 아라리요”에서 감동과 열기로 꿈틀했다.

    또 하나의 애국가라 불리는 우리 전통의 민요 아리랑을 4만5000명의 관객이 한 목소리로 부르는 장관이 펼쳐졌다.

    이날 공연은 희노애락 등 총 4개의 주제로 진행됐다.

     

    1장인 희(喜)는 나눔의 아리랑으로 기쁨을 기원하는 정선아리랑, 홀로아리랑, 강원도아리랑으로 구성돼

    우리 삶의 기쁨을 넘어 세계 모든 이들의 평안한 삶을 기원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평안을 기대하는 의미를 담았다.


    2장 노(怒)는 슬픔과 아픔의 아리랑으로 우리 삶의 모든 슬픔을 상주아리랑, 상여소리를 통해 노래했다.

    전쟁의 고통과 죽음 등의 현실을 아리랑 노래의 가사로 장단을 풀어내고,

    슬픈 삶 속에서 원혼을 달래고 앞으로의 희망을 밀양아리랑으로 읊조렸다.


    3장 애(愛)는 화합과 소통의 아리랑으로 구아리랑, 해주아리랑, 진도아리랑으로 구성돼 사랑을 노래했다.

    불변의 법칙과 같은 사랑을 남녀간의 사랑, 가족간의 사랑, 이웃 간의 사랑 등으로

    우리 삶 속의 아름다운 사랑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했다.


    4장 락(樂)은 세계 속의 아리랑을 표현했다.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4박 아리랑으로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편곡을 통해 현대화 시킨 아리랑으로 즐거움을 전했다.

    함께 즐기며 부르고, 춤추며 놀 수 있는 거대한 판놀음이 진행해 공연자와 전 객석의 관객을 신명으로 이끌며 피날레를 장식했다.


    이번 “아리랑 아라리요 페스티벌”은 우리의 역사를 재인식의 자리였다.

    2011년 6월, 중국은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아리랑”을 중국 무형문화재로 지정했고

    유네스코 무형문화재에 “아리랑”을 중국의 유산으로 등재 추진 중에 있다.

    “우리의 아리랑”이 “중국의 아리랑”으로 등재될 위기 속에서 우리나라는

    무형문화재 관련법을 개정해 "아리랑"을 무형문화재로 등록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고

    유네스코에 “아리랑”’을 우리 문화재로 등재 신청을 해 놓은 상태다.

    11월 유네스코의 심사는 ‘현 시점에서의 향유와 커뮤니티의 전승의지’를 중점적으로 보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한민족이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아리랑’을 4만 5천명의 아리랑지킴이들이 부르고 즐기는 모습을

    전 세계에 보여주는 것이 가장 쉬운 애국의 길인 동시에 이번 페스티벌의 목적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