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李英姬)의 묘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8. 28. 04:05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李英姬)의 묘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3묘역-1616 1936년 2월 24일 대구 출생 2018년 5월 17일 서울 별세 이영희의 바늘과 실타래가 무명과 비단의 지도 위에서 하 세월 길을 묻고 힘겹게 길을 열더니 이제는 동양과 서양을 이어주는 문화의 끈이 되었더라 김남조 옷을 벗으면 나는 자연이다 옷을 입으면 나는 문화다 자연과 문화를 함께 갖고 싶은 꿈 그래 바람의 옷을 입는다. 이어령 이영희(李英姬, 1936~2018) 학력 : 경북여자고교 졸업, 성신여자대학교 염색 디자인 전공 1977 이영희 한국의상 개업 1983 백악관 초청 미국독립기념 축하 패션쇼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대회 개·폐막 기념 패션쇼 1986 한불수교 100주년 기념 패션쇼(프랑스 파리) 1..
-
국기원원장 엄운규의 묘(國技院院長 嚴雲奎의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8. 26. 04:06
국기원 원장 엄운규의 묘(國技院院長 嚴雲奎의 墓) 배위 김종호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3묘역-15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內 15 1929년 12월 23일 서울 출생 2017년 6월 10일 서울 별세 배위 1934. 3. 4 출생 2016. 1. 14 별세 당신은 태권도의 반석이었고 청도관의 기둥이었고 국기원의 대부이셨고 태권도 역사의 산 증인이셨습니다. 당신의 육신은 떠나셨지만 8천만 태권도인들의 가슴에 살아계신 태권도의 전설이 되셨습니다. 훌륭한 지도 사범님으로 존경하는 태권도 원로님으로 태권도를 빛낸 자랑스러운 태권도인으로 전 세계 태권도인들의 가슴에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이제 자유로운 천국 평화로운 세상에서 안식하소서. 박기현 여호와는 네게 복을 ..
-
대한적십자사 총재 서영훈(徐英勳)의 묘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8. 24. 04:07
대한적십자사 총재 서영훈의 묘(大韓赤十字社 總裁 徐英勳의 墓)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3묘역-14 14 1920년 10월 20일 평남 덕천 출생 2017년 2월 4일 서울 별세 이같이 너의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마태복음 5장 16절)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요한복음 8장 32절) 서영훈(徐英勳, 1920~2017) 출생 : 평안남도 덕천 학력 :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1939년), 서울신문학원 전문학사(1952년), 국제대학교(현 서경대학교) 교육학 학사(1959년) 1972~1982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남북적십자회담 대표) 1980~1986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장 1981..
-
재일 한국상공회의소 연합회장 장두회의 묘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8. 10. 04:08
재일 한국상공회의소 연합회장 장두회의 묘 (在日 韓國商工會議所 聯合會長 張斗會의 墓) 장두회 사망일자 : 2016년 11월 16일 안장일자 : 2017년 1월 19일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3묘역-13 1922년 6월 4일 전남 신안 출생 2016년 11월 16일 일본 오사카 별세 1932년 11세에 일본으로 가서 청, 장년을 어려운 역경과 시련을 겪으면서 성시한 상공인으로 성장 1970~1973년 민단 오사카부 항지부 단장 1979~1981년 민단 오사카부 지방본부 부단장 1981~2003년 재일본 전라남도 도민회 회장 1982~1987년 오사카 한국상공회의소 회장 1982~1988년 88서울올림픽 재일한국인후원회 부회장 1987~1993년 재일 한국상공회의소 회장 1993~1999년 재일..
-
육군 소령 이순호의 묘(陸軍 少領 李順鎬의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8. 3. 04:02
이순호(李順鎬, 1928. 4. ~1952. 10. ) 소속 : 제7사단 계급 : 소령 군번 : 201984 사망일자 : 1952년 10월 13일 안장일자 : 1958년 11월 25일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15묘역-4-378 1928년 경기도 개풍군에서 태어난 이순호는 개성 송도중학교를 졸업한 후 6·25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육군에 입대해 1950년 5월 육군 예비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950년 9월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제7사단 제3연대에 소속되어 국군과 유엔군의 반격작전에 참가했고 그 공로로 총 3회에 걸쳐 복무 공로표창을 받았다. 1952년 5월, 대위로 진급한 이순호는 제7사단 제3연대 제3대대 제9중대장으로 강원도 양구의 백석산 전방 1090고지 전투에 참전했다. 1090고지(크리스마스 고지)..
-
육군 중위 민혜동의 묘(陸軍 中尉 閔惠東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7. 30. 04:08
민혜동(閔惠東, 1918. 2. ~ 1951. 11.) 소속 : 9사단 제29연대 계급 : 중위 군번 : 211521 사망일자 : 1951년 11월 11일 (철원) 안장일자 : 1958년 11월 25일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15-4-401 1918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상왕십리동에서 태어난 민 중위는 배재중학교를 졸업한 뒤 육군에 입대해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소위로 임관, 제9사단 29연대 3대대 11중대 3소대장으로 보직되어 철원지역 최전선에 나섰다. 당시 9사단이 주둔하고 있던 철원에는 전략적 요충지인 395고지(효성산, 백마고지)와 281고지(화살머리고지)가 있었으며 그 중요성을 감안해 아군은 제1대대와 제2대대에게 각각 395고지와 281고지를 지키고 제3대대는 그 후방을 경계하도록 ..
-
육군 소령 김왕호의 묘(陸軍 少領 金王虎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7. 28. 04:05
김왕호(金王虎, 1928. 7. 26~1953. 6. 22) 소속 : 육군 제1631부대 계급 : 소령 군번 : 204590 사망일자 : 1953년 6월 22일 안장일자 : 1958년 11월 25일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15-7-254 사단의 전초기지였던 우두산 일대의 748고지(피의 고지)는 적에게 빼앗길 경우 사단의 주저항선이 위협받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곳의 중요성을 간파한 중공군은 1952년 9월 28일 우세한 병력으로 파상 공격을 감행, 인접 중대인 제1대대 제1중대의 방어 진지선을 돌파하여 748고지를 빼앗겼다. 아군은 이를 재탈환하기 위해 2차에 걸쳐 3개 중대 병력을 투입했으나 실패하고 역습 공격을 제3사단 제22연대 제1대대 3중대장 김왕호 소령에게 지시한다. 정면 공..
-
국회의장 김재순의 묘(國會議長 金在淳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7. 27. 04:05
1923년 11월 30일 평양에서 출생 2016년 5월 17일 서울에서 별세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3묘역-12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호는 友巖(우암)이다. 1951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부를 졸업. 1960년 제5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이래 제6. 7, 8, 9, 13, 14대에 걸쳐 일곱 차례 국회의원직과 1988년 제13대 국회의장을 역임, 외무부 정무차관, 재무부 정무차관, 국회 상공위원장, 국회 재경위원장, 민주공화당 대변인과 원내총무를 지냄. 국회 상공위원장 시절 기능인들을 독려하기 위해 기능올림픽을 신설했고 한국이 국제기능올릭픽에 첫 출전해 눈부신 성과를 올리는 데 산파 역할을 하였다. 1970년 평범한 사람들의 행복을 위한 교양지 월간 ‘샘터’를 창간. 1991년 국민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