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탑(塔)
-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學徒義勇軍 無名勇士塔)국내 나들이/탑(塔) 2022. 5. 28. 20:06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學徒義勇軍 無名勇士塔) - 국립서울현충원 無名勇士靈顯(무명용사영현) 이곳에 겨레의 영광인 한국의 무명용사가 잠드시다. 단기 4288년(1955년) 7월 15일 대한민국 학도의용군의 묘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學徒義勇軍 無名勇士塔) 6.25 전쟁이 발발하자 전국 각지에서 학생들이 교복을 입은 채 군번도 없이 학도의용군으로 자진 참전하여 장렬하게 전사하였습니다. 그중 경상북도 포항지구 전투에서 전사하여 가매장되었다가 발굴된 이름을 알 수 없는 학도의용군 48위의 유해를 1964년 4월 국립서울현충원으로 모셨습니다. 학도의용군 무명용사탑은 1954년 10월 30일 지금의 현충탑 자리에 ‘무명용사탑’으로 건립되었으나, 1967년 9월 현충탑을 건립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겼으며, 1번 묘역에 ..
-
육사 제7기 특별동기생탑(陸士 第7期 特別同期生塔)국내 나들이/탑(塔) 2022. 5. 20. 20:05
오석 기단(높이 1.3m) 위에 화강석 좌대(높이 0.6m)를 쌓고 좌대 위로 철근콘크리트에 화강석 판석을 붙인 탑신(높이 6m)을 세운 후, 탑신 꼭대기에 원형의 고리를 밟고 양팔을 벌린채 늠름하게 서 있는 군인 동상(직경 3m)을 세웠다. 탑 하단 전면에는 6.25 때 쓰던 철모가 놓여져 있다. 오랑캐 무찌르며 돌진하던 그대들이 나라는 건져놓고 저는 정작 못 돌아오고 충혼이 한 줌 흙으로 이 기슭에 누었다. 그대들 푸른 넋이 가슴마다 살아있네. 못 이룬 그 바램을 오늘도 되새기며 아쉽고 그리운 정으로 돌 하나를 세운다. 1963년 8월 17일 육사 7기 특별동기생 일동 육사 제7기 특별동기생 203명 명단(군번순) 祖國(조국)을 사랑하는 自由民(자유민)들에게 傳(전)해다오! 憂國愛族(우국애족)에 불타..
-
대한독립군 무명용사 위령탑(大韓獨立軍 無名勇士 慰靈塔)국내 나들이/탑(塔) 2022. 5. 18. 19:05
대한독립군 무명용사 위령탑 그리던 조상 나라 다시 살리라 그리던 자유꽃이 다시 피리라 독립군가 중에서 대한독립군 무명용사 위령탑 조국의 광복을 위해 압록강 두만강 너머의 남북 만주와 시베리아 험지에서 때로는 중국 광야에서 조국 강산을 넘나들며 일제와 싸우다 장렬히 산화한 대한독립군 무명용사의 충혼을 이 자리에 모시고 영원한 명복을 비나이다. 2002년 5월 15일 광복회장 대한독립군 무명용사 위령탑(大韓獨立軍 無名勇士 慰靈塔) 대한독립군 용사들은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기자 조국을 되찾기 위해 국내는 물론 만주, 연해주 등지에서 처절하게 독립투쟁을 하다 이름도 남기지 못한 채 산화하였습니다. 이 탑은 독립군 무명용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뜻을 추모하기 위해 광복회 주관으로 1년여의 공사기간을 거쳐 2002년..
-
경찰충혼탑(警察忠魂塔) - 국립서울현충원국내 나들이/탑(塔) 2022. 5. 17. 21:05
여기는 우리들의 조국 지나간 한 때 어둠 속에 잠겼다가 자유를 되찾은 광복된 나라 온갖 방해 물리치고 나라를 세우려고 고귀한 청춘의 피를 뿌린 이 나리 건국 경찰을 우리는 그들을 잊지 못한다. 또 다시 닥쳐온 고난과 시련 민족을 반역한 북한 공산군 잔악한 남침으로 일으킨 전쟁 총탄 속에서 조국을 구하려고 값비싼 청춘의 피를 뿌린 이 나라 구국경찰들 우리는 그들을 잊지 못한다. 그리고도 밤낮을 이어 나라를 위해 오직 자유 평화 정의를 지켜 겨레의 안전을 보살피다 엄숙하고 거룩한 사명 앞에 순결한 청춘의 피를 뿌린 이 나라 호국 경찰들 우리는 그들을 잊지 못한다. 여기는 순국한 님들 잠드신 곳 장미꽃보다 더 아름답던 청춘 그 청춘 그대로 누워 계신 곳, 육신은 풀 끝의 이슬처럼 잠깐 왔다 갔을지라도 뜻과 이..
-
안동 다목적댐 준공기념탑국내 나들이/탑(塔) 2022. 5. 6. 21:06
K-Water(한국수자원공사) 안동댐 안동 다목적댐 준공기념탑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산 162-8 安東 多目的댐 竣工 銘文(안동 다목적 댐 준공 명문) 여기 우리 민족의 오랜 宿願(숙원)이던 안동 다목적댐의 歷史的(역사적)인 竣工(준공)을 告(고)한다. 이 雄大(웅대)한 댐은 朴正熙 大統領 閣下(박정희 대통령 각하)의 安定(안정). 繁榮(번영). 統一(통일)에의 불타는 執念(집념)과 英斷(영단)을 받들어 우리의 科學(과학)과 技術(기술)과 슬기를 다하여 熱(열)과 땀으로 이룩하여 놓은 것이다. 낙동강(洛東江)의 旱水害(한수해)는 오랜동안 우리 祖上(조상)들의 삶과 마음을 앗아 왔으니 이제 이 댐에 담긴 太白峻嶺(태백준령)의 맑은 물로서 國土(국토)를 기름지게 하리라. 豐饒(풍요)를 約束(약속)하는 이 ..
-
공군 창군 60주년 기념탑(空軍 創軍 60周年 記念塔)국내 나들이/탑(塔) 2022. 4. 25. 19:13
이곳 여의도는 대한민국 공군 최초 비행단이 위치했던 곳입니다. Yueido was the location for the first fighter w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공군 창군 60주년 기념탑(空軍 創軍 60周年 記念塔) 대한민국 공군은 1949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254호에 따라 조국의 하늘을 지키기 위해 1,600여 명의 병력과 경항공기 20여대로 창군되었으며, 이곳 여의도는 당시에 창설된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비행단 부지로서, 1971년까지 20여 년 동안 공군의 최전방 기지로 운영되었다. 창군 60주년을 맞이하여 전 공군인의 이름으로 선배 전우들의 헌신과 희생정신을 기리는 한편,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항공우주군으로의 원대한 비전을 기리기 위..
-
동두천시 반공희생자 위령탑국내 나들이/탑(塔) 2022. 1. 7. 20:11
현충시설 지정 기념비(顯忠施設 指定 記念碑) 현충시설 관리번호 : 15-2-117(지정일 : 2019년 12월 12일) 공산침략(共産侵掠)을 막아낸 군번(軍番) 없는 반공투사(反共鬪士) 구월산(九月山) 유격대(遊擊隊) 1472위(位)의 숭고(崇高)한 호국정신(護國精神)과 관내(管內) 학살 피해자(虐殺 被害者) 22위(位)의 애국충정(愛國忠情)을 길이 전(傳)하며 희생자(犧牲者)들의 영령(英靈)을 추모(追慕)하고 자유수호(自由守護)의 고귀(高貴)함을 보존(保存)하고자 설립(設立)한 반공희생자 위령탑(反共犧牲者 慰靈塔)의 현충시설(顯忠施設) 지정(指定)을 기념(紀念)하여 이 비(碑)를 건립(建立)한다. 대한민국 국가보훈처(大韓民國 國家報勳處) 총(銃)도 칼도 없이 오직 피 끓는 애국 열(愛國熱)이 힘으로 솟..
-
세종성왕 기념탑(世宗聖王 記念塔)국내 나들이/탑(塔) 2021. 12. 21. 19:19
세종성왕 기념탑(世宗聖王 記念塔) 세종성왕 기념탑(世宗聖王 記念塔) 이 탑은 우리나라 역사상 으뜸가는 위인이요, 드높은 은인이신 세종성왕의 마음과 위업을 온전하게 기리기 위하여 세우는 기념탑이다. 세종성왕은 단기 3730년 음력 4월 10일(서기 1397년 양력 5월 15일)에 태어나시어 스물두 살의 나이인 3751년 음력 8월 10일(1418년 양력 9월 18일)에 조선조 제4대 임금으로 모셔져 32년 동안 나라의 바탕을 닦고 겨레문화의 방향을 바로 잡아 주신 뒤 3783년 음력 2월 17일(1450년 양력 4월 8일) 쉰네 살로 세상을 떠나셨다. 어릴 때부터 그 용모가 단아하고 자질이 총명하셨으며, 성행이 돈독 근면할 뿐만 아니라 학문을 부지런히 하셨고 어버이에 대한 효성과 동기간의 우애도 누구에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