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
지방선거의 역사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5. 1. 21:07
지방선거의 역사 1952. 04. 25. 제1차 시·읍·면의회 의원선거(최초 지방선거) 1952. 05. 10. 제1차 도의회의원선거 1956. 08. 08 제2차 시·읍·면의회 의원선거 1956. 08. 08 제1차 시·읍·면장 선거 1956. 08. 13. 제2차 시·도의회 의원선거 1960. 12. 12. 제3차 시·도의회 의원선거 1960. 12. 19. 제3차 시·읍·면의회 의원선거 1960. 12. 26. 제2차 시·읍·면장 선거 1960. 12. 29. 서울시장·도지사 선거 (※ 1961. 05. 16 군사정변 이후 지방자치 단절) 1991. 03. 26. 구·시·군의회 의원선거 (※ 30년 만에 지방선거 부활) 1991. 06. 20. 시·도의회 의원선거 1995. 06. 27. 제1회 전..
-
수표(水標)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24. 19:15
수표(水標) 수표는 세종 23년(1441)에서 세종 24년(1442)에 걸쳐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서울 청계천과 한강에 설치해 하천의 물높이를 재던 기기이다. 우리나라가 7~8월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점을 통계적으로 파악해 홍수를 대비하기 위해, 처음에는 나무로 만들었으나 썩어서 나중엔 돌로 만들었다. 이것은 세종대왕 기념관에 있는 ‘서울 청계천 수표’를 본떠 1988년 11월에 만들었다. 기둥 하단과 받침돌에 청계천을 준설한 해인 계사경준(癸巳更濬, 1833년)과 기사대준(己巳大濬, 1869년)이 새겨져 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규표(圭表)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23. 19:10
규표(圭表) 규표는 세종 19년(1437)에 만든 것으로 해의 그림자를 재어 24절기를 알 수 있게 만든 천문 관측기기이다. 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 동지(冬至)이고, 짧은 날이 허지(夏至)를 나타낸다. 이때 동지와 다음 동지의 간격을 재어 일 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그림자의 길이에 따라 24절기를 알 수 있다. 이것은 문헌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의 1/10로 축소하여 1995년 11월에 복원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측우기(測雨器)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20. 19:13
錦營測雨器(금영 측우기) 高一尺五寸(고일척오촌) 徑七寸(경칠촌) 道光丁酉製 (도광정유제) 重十一斤(중십일근) ‘금영측우기’의 제작시기와 크기 등에 대해서는 중단의 바깥 면에 새겨진 명문(銘文)을 통해 확인된다. 명문에 의하면 이 측우기는 1837년(丁酉年, 헌종 3년)에 만들었으며 높이는 1자(尺) 5치(寸), 지름 7치, 무게 11근으로, 오늘날 치수로 환산하면 높이 31.9cm, 지름 14.9cm, 무게는 6.2kg에 해당한다. 측우기(測雨器) 측우기는 세종 23년(1441)에 비의 양을 재고자 만든 기기이다. 이전에는 땅속에 스며든 빗물의 깊이를 자로 쟀었는데, 쇠로 된 원통형 측우기를 만들어 비의 양을 정확히 잴 수 있게 했다. 이것은 지금까지 남아있는 측우기 중 가장 오래된 ‘금영측우기(錦營測雨..
-
관천대(觀天台)와 적도의(赤道儀)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8. 19:12
관천대(觀天台)와 적도의(赤道儀) 관천대(觀天台) 관천대는 천문 관측기기를 올려놓던 곳이다. 조선 초기 세종대왕은 경복궁 안에 천문 관측기기를 설치하여 관리(官吏)들에게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도록 했다. 이것은 ‘창경궁 관천대’를 본떠 1988년 12월에 만들었다. 적도의(赤道儀) 적도의는 조선 후기의 천문 관측기구로 해와 달, 별의 움직임을 쉽고 편리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연구하여 만든 기기이다. 현재 남아있는 유물이 없어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의 저서 ‘성경(星鏡)’에 남아있는 그림을 바탕으로 2003년 12월 복원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천평일구(天平日晷)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7. 19:11
천평일구(天平日晷) 천평일구는 세종 19년(1437)에 만든 휴대용 해시계이다. 용 기둥에서 남쪽 못까지 연결된 실이 하늘의 적도면(赤道面)과 나란하게 놓여 있는 시반면(時盤面, 시각과 절기가 그려진 받침대) 중앙을 수직으로 통과하며, 햇빛에 의해 시반면 위에 나타난 그림자로 시각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문헌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를 7배로 확대하여 2003년 5월에 복원하였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국내 나들이/전시관(展示館) 2022. 3. 16. 20:11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태조 4년(1395)에 북극을 중심으로 하늘의 좌표에 따라 별 1,467개의 위치를 커다란 원 안에 표시하여 만든 천문도(天文圖, 별과 별자리 그림)이다. 윗부분에는 해와 달의 운행기록과 별자리 그림, 아랫부분에는 우주관, 제작 배경, 과정, 만든 사람의 이름과 만든 때가 적혀 있다. 이것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을 본떠 1999년 5월에 만들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