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
흰나비나무(바우히니아, Bauhinia variegata)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26. 20:09
흰나비 나무(바우히니아, Bauhinia variegata) 속명 Bauhinia는 스위스의 두 형제 식물학자인 Jean(johann) Bauhin(1541~1613)과 Gaspard(Caspar) Bauhin(1560~1624)의 이름에서 명명되었는데, 나비 모양의 잎은 두 형제를 의미한다고 한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 되어 있는 반상록 나무로써 높이 6~10m가량 성장한다. 성장이 빠르고 토양의 PH 산성~중성을 선호하며 습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을 선호한다. 한국에선 꽃의 색상과 외형이 하얀 나비를 닮았다 하여 흰나비 나무라 부르게 되었다. 꽃이 향을 지니고 나비를 닮기도 하며 수분 매체로 벌새를 유인하는 나무이다. 뿌리혹박테리아의 활성으로 인한 토양 내 질소 고정과 토양을 기름지게 만들어 ..
-
울레미 소나무(Woollemia nobilis)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25. 20:10
2억 년 전 공룡과 함께 살았던 울레미 소나무 국내 최초 개화 울레미 소나무 - 아라우카리아과(Araucaria科) 울레미 소나무(Woollemia nobilis)는 2억 년 전 중생기 쥐라기 시대(Jurassic Period, 약 2억 1,000만 년 전 ~ 1억 4,000만 년 전)에 지구에 서식하였으나 화석만 남아있어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개화한 울레미 소나무는 1994년 호주 시드니 울레미 국립공원 (Australia Sydney Woollemia National Park)에서 발견되었으며, 공룡시대에 살았다고 ‘공룡 소나무’라고도 불린다. 국내에서도 많은 기관이 이 식물을 전시하고 있으나 꽃이 핀 것은 처음이다. 이 나무는 야생에서 최대 40m까지 자라며, 꽃은 자웅동주(雌雄同株, 암..
-
한국전통정원(韓國傳統庭園) - 국립 세종수목원(國立 世宗樹木園)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21. 19:10
한국전통정원(韓國傳統庭園) - 국립 세종수목원(國立 世宗樹木園) 자연에 순응하며 풍류를 즐기던 선조들의 지혜 국립 세종수목원의 한국전통정원은 궁궐정원, 별서정원, 민가정원이 있다. 궁궐정원은 창덕궁 주합루와 부용정을 실제 크기로 조성하였고, 별서정원(別墅庭園)은 소쇄원을 주제로 계류, 화오, 담장 등을 연출하였다. 민가정원은 옛 마을에서 볼 수 있는 정자목과 돌담 등을 정원 요소로 도입해 친숙하면서도 편안함을 주도록 조성하였다. 특히 한국전통정원답게 건물에 한글 현판이 설치된 것이 눈에 띈다. 현판은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의 주합루(宙合樓)였던 현판을 ‘솔찬루’(소나무처럼 푸르고 옹골차다는 의미)로, 어수문(魚水門)은 ‘가온문’(세상의 중심이라는 의미)으로, 부용정(芙蓉亭)은 ‘도담정’(야무지고 탐스..
-
국립 세종수목원 열대온실(國立 世宗樹木園 熱帶溫室)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20. 19:10
국립 세종수목원 열대온실(國立 世宗樹木園 熱帶溫室) 국립 세종수목원 사계절 전시온실은 우리와 기후대가 다른 열대식물 전시와 교육을 통해 식물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의 중요성을 알 수 있는 곳이다. 열대식물전시원(열대온실)은 5.5.m 높이의 관람자 데크길을 따라 나무고사리, 알스토니아, 보리수나무 등 437종 6,724본을 관찰할 수 있다. (관람 포인트) 흑판수, 열대과일, 식충식물, 병야자, 브로멜리아드류, 하와이 무궁화, 커피나무, 아마존 빅토리아 수련,, 일랑일랑 등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목원로 136 (세종리) 국립세종수목원
-
파인애플을 닮은 카나리아야자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19. 20:10
파인애플을 닮은 카나리아야자 Phoenix canariensisHort. ex Chabaud 스페인의 카나리섬이 원산인 이 야자의 이름도 카나리아야자입니다. 파인애플 모양과 닮아 파인애플 야자라고도 불린답니다. 오늘날에도 카리나섬의 La Gomera 지역에서는 "Miel de Palma"라는 메이플 시럽 맛의 농축액을 생산하기 위해 카나리아야자의 수액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목원로 136 (세종리) 국립세종수목원
-
국립 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國立 世宗樹木園 地中海溫室)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18. 21:12
코베니 아카시아 바오밥나무 카나리아야자 케이바물병나무 울레미 소나무 국립 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國立 世宗樹木園 地中海溫室) Mediterranean Plant Garden 스페인 그라나다에 있는 알함브라 궁전의 모습을 모티브로 한 지중해온실은 우리나라와 기후대가 다른 지중해 식물들을 전시하여 강렬한 지중해의 햇빛과 기후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약 228종 1,960본의 다양한 식물을 볼 수 있다. (관람 포인트) 울레미 소나무, 코베니 아카시아, 바오밥나무, 레몬, 카나리아야자, 케이바 물병나무, 올리브나무, 선인장, 부겐빌레아 등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목원로 136 (세종리) 국립세종수목원
-
국립 세종수목원 분재원(國立 世宗樹木園 盆栽園)국내 나들이/수목원 식물원(樹木園,植物園) 2022. 4. 9. 21:12
곰솔 모과나무 진백 은행나무 풀명자 곰솔 진백 화살나무 아그배나무 중국단풍 곰솔 신나무 개나리 진백 벚나무 풀명자 섬잣나무 '글라우카' 복사나무 명자꽃 매실나무 곰솔 곰솔 단풍나무 곰솔 등 석가산(石假山) 분재(盆栽)란? 화분에서 재배되는 모든 식물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화분에 있는 식물을 분재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분재라 하면 화분에 식물을 심고 가꾸며 오랜 세월 속에서 나타나는 자연의 균형미. 수목의 강인한 생명력을 표현한 고태미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감상할 수 있는 예술작품입니다. 분재 감상 분재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자연 속에 오랜 시간 살아온 노거목 형태를 생각하며, 전체의 모습만 보는 것이 아니라 뿌리, 줄기, 가지, 잎의 각 부분의 특징을 감상하면 또 다른 분재의 매력 포인트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