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경궁 풍기대(昌慶宮 風旗臺)-보물 제846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5. 3. 13. 05:30
창경궁 풍기대(昌慶宮 風旗臺)-보물 제846호
창경궁 풍기대(昌慶宮 風旗臺)는 조선 영조 8년(1732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재는 풍기를 세웠던 창경궁에 있는 석대(石臺)이다.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동궐도(東闕圖)’에 화강석 풍기대 그림이 있다.
풍기대에 관해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대궐 가운데에는 풍기가 있는데 이는 곧 옛부터 바람을 점치려는 뜻으로써,
창덕궁의 통제문 안과 경희궁의 서화문에 돌을 설치하고 거기에 풍기죽(風旗竹)을 꽂아 놓았다"
이로부터 조선 후기에 궁궐에 돌로 만든 풍기대를 설치하고
거기에 풍기죽을 꽂아 바람을 점쳤던(측정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궁궐에 세운 이런 풍기대는 조선왕조의 농업기상학에 대한 관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로 여겨진다.
창경궁 풍기대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높이가 228.1cm이며, 하부 대석은 높이가 92.4cm 이고, 넓이는 가로·세로 모두 62cm 이다.
상부 팔각기둥은 높이가 135.7cm, 상부구멍 지름은 11cm, 깊이가 33cm이다.
화강석을 다듬어 만든 풍기대 아래에 상을 조각한 대를 놓고, 그 위에 구름무늬를 양각한 팔각주를 세운 모양이다.
팔각주 맨 위의 중앙에는 깃대를 꽂은 구멍이 있고 그 아래 기둥 옆으로 배수 구멍이 뚫려 있다.
현재 풍기죽은 남아있지 않으나, ‘동궐도’에 따르면 삼지창을 맨 위에 꽂은 가늘고 긴 깃대를 풍기대의 구멍에 꽂았으며,
깃대에는 가늘고 매우 긴 깃발을 달았다. 풍기대에 '상풍간(相風竿)'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창경궁 풍기대(昌慶宮 風旗臺)는 1985년 8월 9일 보물 제 846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
2685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 우익문(南漢山城 右翼門) (0) 2015.03.14 동화사(桐華寺) 대웅전(大雄殿)-보물 제1563호 (0) 2015.03.13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 창경궁 대온실(昌慶宮 大溫室)-식물원 (0) 2015.03.11 창경궁 옥천교(昌慶宮 玉川橋) (0) 2015.03.10 경희궁 자정전(慶熙宮 資政殿) (0)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