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문(八門) 팔봉(八峰) 속의 속리산휴게소국내 나들이/휴게소,쉼터(休憩所) 2016. 9. 21. 05:30
팔문(八門) 팔봉(八峰) 속의 속리산휴게소
속리산휴게소는 속리산의 남쪽 종산(從山)인 구병산(九屛山)을 배경으로 우람한 시루봉을 벗하여 자리하고 있다.
속리산(俗離山)은 주산(主山)인 속리산과 종산, 삼구곡(三九曲), 그리고 팔문(八門), 팔봉(八峰), 팔대(八臺)가 포함된 국립공원이다.
팔문과 팔봉을 형상화하여 설계된 속리산휴게소의 조경공간은 통석의자, 파고라, 어린이 놀이시설 및
준공기념비를 설치하여 고속도로 이용 고객들의 편안한 휴식처가 되도록 조성되어 있다.
속리산 팔문과 팔봉은 다음과 같다.
팔문(八門)
내석문(內石門), 외석문(外石門), 상환석문(上歡石門), 상고석문(上庫石門), 상고외석문(上庫外石門),
비로석문(毘盧石門), 금강석문(金剛石門), 추래석문(墜來石門)
팔봉(八峰)
천황봉(天皇峰), 비로봉(毘盧峰), 길상봉(吉祥峰), 문수봉(文殊峰), 보현봉(普賢峰), 관음봉(觀音峰), 묘봉(妙峰), 수정봉(水晶峰)
=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적암리 =
정이품송후계목(正二品松後繼木)
우리나라의 대표적 소나무인 속리산 정이품송(천연기념물 제103호)의 후계목이다.
정이품송은 수령이 약800년 정도로, 솔잎혹파리 등으로 인한 각종 병충해를 겪어 예전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보은군은 정이품송의 혈통을 유지한 후계목을 생산하기 위해 정이품송의 꽃(아비나무)과
보은군 서원리의 정부인소나무(어미나무)의 인공교배 기술로 얻어진 종자를 채취해 파종한 후 묘목을 키워 옮겨 심었다.
- 속리산(청원방향)휴게소 -
준공기념 표지석 "미래를 여는 행복의 길"
'국내 나들이 > 휴게소,쉼터(休憩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안고속도로 준공기념 "도약의 상" (고창 고인돌휴게소) (0) 2016.10.26 평사휴게소, 삼성현(三聖賢) 이야기공원 (0) 2016.09.28 자연스럽게 통나무로 만든 기림사 문향정(祇林寺 聞香亭) (0) 2016.08.11 건천휴게소(乾川休憩所) (0) 2016.07.23 평창휴게소 자작나무 조각공원 (0) 2016.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