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인돌(支石墓, 지석묘) - 고려대학교 박물관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1. 7. 19:10
고인돌(支石墓, 지석묘)
이 고인돌은 주암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남 보성군 문덕면 봉갑리, 보성강 유역의 돌출된 낮은 구릉의 말단 부분에
14기가 군집 분포되어 있던 것을 충남대학교 박물관에서 1987년 8월에 발굴 조사하였다.
청동기시대 후기에서 초기 철기시대의 것으로
지하에 만든 무덤방 위에 바로 덮개돌이 올려져 있는 형식이다.
출토유물로는 돌화살촉 등이 출토되어 학술연구에 중요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고려대학교 박물관에서는 발굴조사된 이 고인돌들을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989년 10월 30일부터 이곳에 이전 전시하고 있다.
고인돌(支石墓, 지석묘)
고려대학교 박물관 학술조사팀은 1986년 12월 1일부터 1987년 1월 6일까지
고인돌 16기가 군집되어 있는 보성강 유역 퇴적지를 발굴 조사했다.
주암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오봉리 지역을 조사한 과정에서
붉은 간 토기, 간돌검, 돌화살촉, 삼각형 돌칼, 대팻날 등 다양한 유물을 출토했다.
고인돌의 형식은 전라남도 지방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남방식과 개석식으로 대별되며,
기원전 3세기경에서 서력기원을 전후로 한 초기 철기시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 고인돌의 특이한 하부구조는 학술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 5가)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사지 석불입상(聖住寺址 石佛立像) (0) 2022.01.08 국보,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0) 2022.01.07 보물,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 (0) 2022.01.06 충남 유형문화재, 성주사지 석등(聖住寺址 石燈) (0) 2022.01.06 보물,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 (0)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