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물,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1. 5. 21:18
보물,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은 금당(金堂) 터 뒤에 3기의 석탑 중 동쪽에 있는 탑이다.
이 탑은 승탑(浮屠, 부도)으로 추정되었으나 성주사사적기(聖住寺事蹟記)에 적힌 바에 따르면
정광(定光)·가섭(迦葉)·약사여래(藥師如來) 사리탑(舍利塔) 중의 하나로 추정된다.
석탑은 중앙 삼층석탑을 중심으로 양 옆에 동 삼층서탑과 서 삼층석탑이 나란히 서 있다.
국내에는 이와 같은 가람배치는 이례적인 것인데 발굴조사 결과,
금당 앞에 오층석탑을 세워 1 탑 1 금당 형식의 가람배치를 조성한 후 뒤에
석탑 3개를 다른 곳에서 옮겨와 추가로 배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탑은 2중 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석탑으로 면석(面石)과 몸돌(碑身)에는 기둥이 새겨져 있고,
지붕돌에는 4단의 층급 받침이 새겨져 있는 등
통일신라 말기(8세기)의 전형적인 삼층석탑 양식을 띠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문 그림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고리를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이는 몸돌 안에 있는 사리공(舍利空)에 부처의 유골이 모셔져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
이 탑은 상륜부(相輪部)는 없지만 균형 잡힌 비례와 체감,
우수한 조형성을 갖추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일제강점기부터 옆에 있는 탑은 관리대상 문화재로 등록되었고,
이어 보물로 지정되어 관리되었던 것과 달리, 이 탑은 문화재로 지정이 되지 않았다.
해방 후에도 문화재 지정에 누락되었다가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19년에는 보물로 지정되었다.
* 금당(金堂) : 절의 본당, 본존상을 모신 법당, 대웅전(大雄殿)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성주사지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 (0) 2022.01.06 충남 유형문화재, 성주사지 석등(聖住寺址 石燈) (0) 2022.01.06 용두돈대(龍頭墩臺) (0) 2022.01.05 보물,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保寧 聖住寺址 五層石塔) (0) 2022.01.04 보물,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 (0)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