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성선씨(寶城宣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
    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5. 7. 04:10

    보성선씨(寶城宣氏) 유래

     

    보성선씨(寶城宣氏) 시조(始祖)이신 퇴휴당(退休堂) 휘(諱) 윤지(允祉) 선생께서는

    명(明) 나라 사신(使臣)으로 고려(高麗)에 오신 후 서기 1382年 호남안렴사(湖南按廉使)를

    제수(除授) 받으시고 병권(兵權)을 인수 호남지방에 침투한 왜구(倭寇)의 소굴을 소탕하시고,

    특히 초토화(焦土化)된 조양(兆陽). 복홀(伏忽) 두 현(縣)을 회복(恢復)하여

    백성들에게 선정(善政)과 성학(聖學)을 베풀어 평안케 하니 지금의 보성군(寶城郡)이다.

    공(公)께서는 고려(高麗)의 충신으로 절의(節義)를 지켜 조선 개국(朝鮮 開國)에 참여하지 않고

    보성에 퇴거(退居)하시어 보성을 관향(貫鄕)으로 삼았으니 이분이 보성선씨(寶城宣氏)의 시조(始祖)이다.

    이후 후손(後孫) 충신(忠臣)들과 함께 사액(賜額)을 받아 오충사(五忠祠)에 배향(配享)되시어

    춘·추(春·秋)로 향사(享祀)하고 있으며 현재 보성(寶城) 오충사(五忠祠) 충의당(忠義堂)은

    지방문화재(地方文化財)로 지정받았으며 이러한 시조공(始祖公)의 사적(史蹟)은

    동국여지승람(東國興地勝覽).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황조인본조충신목록(皇朝人本朝忠臣目錄), 두문종서원지(杜門洞書院誌) 등에 기록(記錄)이 남아 있다.
    시호(諡號) 평양공(平襄公) 휘(諱) 형(炯) 선생은 세조조(世祖朝)에 이시애란(李施愛亂)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 유성군(敵愾功臣 楡城君)에 봉군(封君)되셨으며

    성종조(成宗朝)에 좌리공신(佐理功臣), 우의정(右議政)에 증직(贈職)되셨다.

    병사공(兵使公) 휘(諱) 거이(居怡) 선생과 대호군(大護軍) 휘(諱) 극례(克禮) 선생께서는

    임진왜란(壬辰倭亂)을 맞아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장군과 더불어

    한산도해전, 행주대첩, 울산성전투 등 수많은 전투에서 혁혁(赫赫)한 전공(戰功)을 세우고

    순절 선무원종공신일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녹훈(錄勳)되셨고

    안동영장(安東營將) 휘(諱) 세강(世綱) 선생께서는 병자호란(丙子胡亂)을 맞아

    쌍령전투에서 중과부적(衆寡不敵)인 상황에서 적과의 혈전 끝에 순절(殉節)하셨고

    수사공(水使公) 휘(諱) 고해(苦海) 선생은 사신(使臣)으로 청(淸) 나라 심양(瀋陽)에 들어가

    청왕(淸王)을 말로써 감복(感服)시켜 국가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는 외교력을 발휘하셨다.

    이때 기록한 심양일기(瀋陽日記)는 지금도 중요한 역사적 사료(史料)로 평가받고 있다.
    보성선씨(寶城宣氏) 후손(後孫)들은 600여 년이 넘는 역사(歷史)의 흐름 속에서도

    선조님들의 충효정신(忠孝精神)을 본받아 명문가(名門家)로 성장 발전하여 왔으며

    오충사(五忠祠)를 중심(中心)으로 후손대대(後孫代代)로

    조상의 얼을 계승 발전시켜 나아갈 자랑스러운 씨족(氏族)이다.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47 (안영동) 중구 효문화마을관리원 뿌리공원 內

     
     
     
     

    작품명 : 충 · 의(忠 · 義)

    작가 : ch조형연구소 대표 천종권, 조용호

     

    ‘선씨 오충신’의 보성선씨는 충렬(忠烈)의 가문으로

    비상하는 곧은 직선 형태인 주 조형물로 그 기개를 표현했으며,
    두 개인 듯 하나로 이어진 형태는 가문의 화합과 번성에 의미를 담아 무궁한 번영을 표상하였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