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란정(金蘭亭)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 대한제국 광무7년(1903년) 당대 삼척지방 유림재생들은 향교 명륜당에 모여 현학(玄學)을 강마(講磨)하고 동양 예의를 존숭(尊崇)하며 공부하며 봄과 가을의 음상(吟觴)을 즐겨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향교가 폐강되었고 이릉 분개한 ..
인제향교(麟蹄鄕校)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와 유학 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인제향교는 조선 초기에 인제읍 서북리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그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던 것..
강릉 귀부(江陵 龜趺)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호 강릉 귀부 (江陵 龜趺)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호 이 귀부는 1965년 강릉시 임당동 139번지 도로 확장공사 중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을 발견하였다. 거북모양 받침돌은 지대석(地臺石: 기초부에 까는 받침돌)과 같은 돌로 되어 있다, 등에는 6각..
강릉 석불입상(江陵 石佛立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강릉 석불입상(江陵 石佛立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고려시대 석불입상이다. 옥천동 민가에 있던 것을 1992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 머리 윗부분은 손상이 심하여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다. 사각형의 납작한 얼굴에 두 눈은 ..
허난설헌 생가터(許蘭雪軒 生家址) - 강릉 이광로가옥(江陵 李光魯家屋)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9호 이 가옥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시인 許蘭雪軒(허난설헌, 1563~1589)이 태어난 집터로 알려져 있으나 건립연대는 미상이다. 안채와 사랑채, 곳간채가 'ㅁ'자 배치를 하고 있으며, 외부를 둘..
강릉 금란정(江陵 金蘭亭)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 강릉 금란정(江陵 金蘭亭)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 이 정자는 조선시대 말기 이 고장의 선비인 김형진(金衡鎭)이 경포대 북쪽 시루봉 아래에 건물을 짓고, 주변에는 매화를 심어 학과 더불어 노닐던 곳이라 하여 매학정(梅鶴亭)이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