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및 영산전 석탑(靈山殿 石塔) 상원사 영산전(上院寺 靈山殿)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영산전은 정면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1946년 화재가 났을 때 유일하게 화마를 피한 전각으로 오대산 내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법당에는 석가 삼존상과 십육 나한상..
영월향교(寧越鄕校)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향교는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영월향교는 1398년(태조7)에 설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473년 향교의 기와를 다시 바꾸었으며, 1574년과 1593년, 1604년에 중창하였고,..
칠사당(七事堂)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칠사당(七事堂)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조선시대의 관공서 건물로 일곱 가지 정사(호구, 농사, 병무, 교육, 세금, 재판, 비리 단속에 관한 일)를 베풀었다 하여 칠사당이라 불리었다. 이 건물의 최초 건립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1632년(인조 10)에 ..
강릉 경포대(江陵 鏡浦臺)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강릉 경포대(江陵 鏡浦臺)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경포대는 고려 충숙왕 13년(1326년) 당시 강원도 안렴사(按廉使) 박숙(朴淑)이 현 방해정(放海亭) 뒷산 인월사 옛터에 창건하였다고 전하여지고 있고 이후 현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하..
무릉리 마애여래좌상(武陵里 磨崖如來坐像) 이 불상은 전체 높이가 3.5m에 이르는 고려시대의 마애불좌상인데, 암벽 위의 높은 부조로 불상을 새겼다. 살이 찌고 둥근 얼굴에 눈, 코, 입과 귀가 큼직큼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불상이 입고 있는 옷(佛衣, 불의)은 두꺼워 신체의 굴곡이 드러나..
영월 법흥사 부도(寧越 法興寺 浮屠) 부도(浮屠)란 스님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일종의 묘탑이다. 이 부도는 징효대사 부도와 같은 형식이나 누구의 부도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명 사리탑이라고 하는 이 부도는 넓고 네모난 돌을 바닥에 깔고 1단의 층을 만들어 팔각의 아래 받침돌과 ..
영월 법흥사 석분(寧越 法興寺 石墳)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도를 닦던 곳이라고 전하나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곳으로 보인다. 돌방의 겉모습은 흙을 봉긋하게 덮어 무덤처럼 보인다. 돌방의 입구는 네모꼴로 만들었으며 통로를 통해 돌방 안으로 들어가보면 바닥은 평평..
법흥사 징효국사부도(法興寺 澄曉國師浮屠) 부도(浮屠)란 스님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일종의 묘탑(墓塔)이다. 이 부도는 두개의 네모난 돌을 바닥에 깔고 팔각의 아래 받침돌을 놓았는데, 각 면에는 안상(眼象 - 부도 면석에 팔면의 오금곡선으로 안쪽을 파낸 모양)이 새겨져 있다. 그 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