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병호 항일역사공원(延秉昊 抗日歷史公園) 연병호 항일역사공원은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 연병호 생가(충청북도 기념물 제122호) 일원에 사업면적 30,304㎡에 2015년 6월 착공해 2016년 10월에 완료한 현충시설이다. 주요시설로는 연병호선생의 성장과정과 독립운동 등의 자료를 모..
증평 연병호 생가(曾坪 延秉昊 生家) - 충청북도기념물 제122호 이 집은 독립운동가 연병호(延秉昊, 1894~1963) 선생이 낳고 자란 곳이다. 선생의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순서(舜瑞), 호는 원명(圓明)이며, 초명(初名)은 병힉(秉學)으로 1894년(고종 31년) 11월 22일 연채우와 전주 이씨 사이에서 ..
광복을 눈앞에 두고 옥사 순국한 한인애국단원 ‘유상근(柳相根)’ 광복을 눈앞에 두고 옥사 순국한 한인애국단원 ‘유상근(柳相根)’ 국가보훈처는 일본군 고위관료 처단 계획을 실행하려다 붙잡혀 광복을 하루 앞두고 옥중 순국한 한인애국단원 유상근(柳相根, 1910~1945. 8. 14.) 선생을 20..
애국지사 정화암선생 사적비(愛國志士 鄭華岩先生 事績碑)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1-1-14 정화암(鄭華岩, 1896∼1981)선생, 일명 윤옥(允玉)·현섭(賢燮) 정화암(1896∼1981)선생은 중국 지역에서 무정부주의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1896년 9월 14일 김제시 장화동에서 출생하..
임병찬 의병장 상(林炳瓚 義兵長 像) 임병찬(林炳瓚, 1851. 2. 5~1916. 5. 23) 선생은 1851년 2월 5일 전북 옥구군(沃溝郡) 서면(西面) 상평리(上坪里)에서 임용래(林榕來)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字)는 중옥(中玉), 호는 돈헌(遯軒). 본관은 평택(平澤). 세 살 때 천자문을 읽었으며 한번 읽어 내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