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지방 산촌민가(中部地方 山村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중부지방 산촌민가(中部地方 山村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이 가옥은 전형적인 초가 삼칸 형태를 띠는 민가로 민속촌이 설립되기 전 실제 원 주민이 살았던 집이다. 방과 부엌만 갖추고 있으며, 토담으로 지어진 중..
남부지방 민가(南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남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ㄱ자형 안채와 남부지방 특유의 일(ㅡ)자형 아랫채가 혼합 구성된 민가 형식이다.버들공예를 주업으로 하는 집이어서 대청이 넓고 공방이나 재료 저장고로 쓸 수 있는 방이 많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지방 민가(中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 중부내륙지방의 생활과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는 민가이다.안채는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방 특유의 ㄱ자형나 부엌 안에 칸막이를 하여 광을 둔 점이 특이하다.부엌에 연하여 안방이 2칸 통으로 길게 연한 것 또한 서울의 민가와 상통하는 형식..
진도민가(珍島民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이 가옥은 진도지방의 가옥을 재구성한 것으로 규모는 진도 지방의 중농가에 속하며 바람이 강한 섬 지역의 기후적 특성으로 육지에 비해 가옥이 낮은 편이다. 저장기능 및 신앙적기능을 수행하는 마래가 배치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각 ..
남부지방 민가(南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 남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ㄱ자형 안채와 남부지방 특유의 일(ㅡ)자형 아랫채가 혼합 구성된 민가 형식이다. 버들공예를 주업으로 하는 집이어서 대청이 넓고 공방이나 재료 저장고로 쓸 수 있는 방이 많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한국민속촌..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