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사(龜龍寺) 삼성각(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등의 전..
구룡사(龜龍寺) 사천왕문(四天王門)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치악산 구룡사(龜龍寺)의 사천왕상으로 다른 이름으로 사대천왕(四大天王), 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한다. 욕계육천(欲界六天)의 최하위를 차지한다. 수미산 정상의 중앙부에 있는 제석천(帝釋天)을 섬기며, 불법(佛法)..
치악산 구룡사(稚岳山 龜龍寺) 치악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구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구룡사는 창건 이후 도선(道詵)·무학(無學)·휴정(休靜) 등의 고승들이 머물면서 영서지방 수찰(首刹)의 지위를 지켜왔다. 문무왕 8년(668) 의상대사(義湘大..
치악산 구룡사 지장전(稚岳山 龜龍寺 地藏殿) 저승세계를 상징하는 사찰의 건물로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신다.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원력의 보살이며 미륵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기 전까지 석가모니 부처님의 원을 이어 고통과 어려움에 처해있는 중생들을 구해주고 특히 병든 이를 위하..
구룡사 응진전(龜龍寺 應眞殿)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本尊)으로 모시면서도 그 제자(弟子)들에 대한 신앙세계(信仰世界)를 함께 묘사한 사찰(寺刹)의 당우(堂宇)를 말한다. 나한 중에서도 16나한을 모시는 건물로 나한신앙을 배경으로 조성된 것이다. 대개 응진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를 ..
구룡사 대웅전(龜龍寺 大雄殿) 구룡사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건립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자연석으로 쌓은 축대 위에 세워져 있다. 전면으로 보아 기둥 위에 공포를 두고 주심포 사이에도 공간포(空間包)를 2조(組)씩 배치한 다포계양식(多包系樣式)이며, 팔작(八作)지붕으로 되..
구룡사 일주문 원통문(九龍寺 一柱門 圓通門) 구룡사(九龍寺) 일주문(一柱門)에는 “圓通門(원통문)”이란 현판이 걸려있고 “圓通”이란 말은 “○通”이라고도 쓰며, “둥글게 통한다” 즉, 모든 이치와 법을 깨달아 불교에서의 최고 경지인 “성불(成佛)”을 의미한다. 또한 주련(柱聯..
절터를 지키는 신을 모신 전각, “구룡사 국사단(九龍寺 局司壇)” 국사단(局司壇)은 국사대신(局司大神)을 모신 단으로서 국사대신은 도량이 위치한 산국(山局)을 관장하는 산신(山神)과 토지가람신(土地伽藍神) 등 특정한 구역을 보호하고 관장하는 신을 모신 곳이다. 구룡사 국사단 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