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한루원 영주각(廣寒樓苑 瀛洲閣)영주각은 광한루원내 신성사상 배경의 정원으로 가꾸기 위해 축조된 상징적 누각으로서 "용성지"에 누정편에 보면 "전라관찰사 정철이 요천에서 끌어 온 물이 누앞을 좁다랗게 흐르고 있던 개울을 넓혀서 평호로 하고은하수를 상징케 했으며 주위를 석..
창경궁(昌慶宮) 명정문(明政門) 명정문(明政門)은 창경궁(昌慶宮)의 정전인 명정전(明政殿)의 출입문이다. 명정문은 흥화문과 같이 동향을 하였는데, 명정전으로 이어지는 동서 중심축 선상에 정확하게 놓이지 않고 남쪽으로 약 1.2m 벗어나 있다. 문의 좌우에 연결된 동행각을 명정문에 맞..
직지사 만세루(直指寺 萬歲樓) 황악루와 함께 직지사의 2개의 누각중에 하나인 만세루는 원래 37칸의 거대한 건물이었다고 하는데, 1800년에 화재로 전소된 것을 1978년에 신축하였다. 정면 5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으로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건물양식을 살렸다. 불이문(不二門) 천왕문과 대..
김제 금산사 대장전(金堤 金山寺 大藏殿) 미륵전의 정면 서쪽에 앞면과 옆면 각 3칸씩의 다포식 팔작지붕인 대장전(大藏殿)이 자리한다. 대장전은 원래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절을 중창하면서 세워졌다. 미륵전을 짓고 이를 장엄하는 정중목탑으로서 가운데에서 우측부분에 위치 하였으..
성벽에 다가서는 적을 공격하는 곳, '북포루(北鋪樓)' 북포루(北鋪樓)는 화성에 있는 포루 중 하나로, 장안문과 화서문의 중간쯤에 위치하여 거의 일직선으로 있는 북서포루와 함께 성벽에 다가서는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포루(鋪樓)는 성곽을 지키기 위해 돌출시켜 만든 ..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는 곳, 부여 부소산성 영일루(扶餘 扶蘇山城 迎日樓)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부소산(扶蘇山) 동쪽 봉우리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으로, 이곳에서 보면 멀리 공주 계룡산의 연천봉이 아득히 바라다 보인다. 원래 이곳에는 영일대가 있어서 계룡산 연천봉(連天..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에 위치한 부석사는 우리나라 화엄종의 근본 도량(道場)이다.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
성벽에 다가서는 적을 공격하는 "화성 북포루 (華城 北鋪樓)"의 야경 북포루(北鋪樓)는 화성에 있는 포루 중 하나로, 장안문과 화서문의 중간쯤에 위치하여 거의 일직선으로 있는 북서포루와 함께 성벽에 다가서는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포루(鋪樓)는 성곽을 지키기 위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