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이충무공 유허(牙山 李忠武公 遺墟)-사적 제155호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지금의 현충사(顯忠祠)이다.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숙종 32년(1706)에 사당을 세우고, 1707년 숙종이 직접 ‘현충사’라 이름 지었다. ..
현충사 정려(顯忠祠 旌閭) 아산 현충사(顯忠祠, 사적 제112호)는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장군을 모신 사당이다. 그러나 이곳은 장군이 8살 때 서울에서 아산 외가로 이사한 이후 무과에 합격하여 임지로 나가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서 장군이 전사한 후 108년이 지난 숙종 30년(1704) ..
충무공이순신기념관(忠武公李舜臣記念館) 충무공이순신기념관은 2005년 현충사종합정비 기본계획에 따라 2006년 기본설계, 2007년 실시설계를 거쳐 2008년에 착공하여 2011년 4월 28일 준공·개관하였다. 기념관은 충무공관련 유물과 임진왜란 당시 해전 사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시·교육하..
무과급제교지(武科及第敎旨) - 보물 제1564-7호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1576년(선조 9년) 3월에 식년무과(式年武科)에 급제하여 받은 합격증이다. 충무공은 병과(丙科) 제4인(第四人)으로 급제하였는데, 이해 전체 29명 중 12등에 해당한다. 교지(敎旨)란 임금이 관리에게 내리는 각종 ..
현충사 충무공 고택(顯忠祠 忠武公 古宅)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21세 때 혼인하여 장인으로부터 물려받아 32세 때 무과에 급제하기까지 구국의 역량을 키우며 살았던 옛집이다. 집 옆으로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서 있는 활터가 있고, 뒤편에는 공의 신위를 모신 가묘(家墓)가 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