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
천주교 우곡성지(天主敎 愚谷聖地)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22. 12. 23. 20:31
천주교 우곡성지(天主敎 愚谷聖地) ‘농은 홍유한(隴隱 洪儒漢, 1726~1785)’ 우리에게 조금 낯선 이름이다. 천주교 우곡 성지(경상북도 봉화군)는 그의 묘소를 품고 있다. 홍유한은 정조 임금의 외가인 ‘혜경궁 홍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영특하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열여섯 되던 해에 성호 이익의 문하생이 되었다. 1750년경부터 이익의 제자들과 함께 ‘천주실의’ ‘칠극’ 등 서학을 연구하며 삶의 진리를 찾아 나섰다. 그는 유학자로 천주교의 삶을 선택했다.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창립을 1779년으로 본다면, 그보다 30년 앞서 홍유한은 이미 신앙의 삶을 살았다. 홍유한은 '수덕자'라 불린다. 그는 정식으로 천주교 세례를 받거나 교적에 오른 적이 없다. 천주교에 관련된 ..
-
남서문 옛날가마솥곰탕 계룡본점국내 나들이/먹거리, 맛집, 전통음식 2022. 12. 3. 20:34
옛날 가마솥곰탕 남서문 옛날가마솥곰탕 계룡본점 충청남도 계룡시 서금암1길 11-6(금암동) 대표번호 042-841-2700 곰탕의 유래 서기 1527년 조선 중종(22년) 때 발간된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곰탕은 국물이 진한데다 공이 많이 들어가는 진귀한 음식’이라고 전하고 있다. 그래서 곰탕은 높은 영양가와 담백한 맛으로 인해 수라상에 오를 정도로 인기를 끌어왔다. 곰탕은 진귀한 음식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어원과 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朝鮮料理製法, 1942년)에는 곰탕의 제조 방법과 효능이 표기돼 있고 역어유해(譯語類解, 1682년)에는 고기물을 ‘쿵탕,으로 표기했고 쿵탕이 곰탕으로 불리게 됐다고 한다. 또 일반음식점에서는 뼈조각을 넣어 국물을 우려냈다고 하여 ’곤다‘는 뜻..
-
학산묘재성지 - 성 남종삼 요한.순교자 남상교 아우구스티노 유택지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22. 11. 26. 20:11
성 남종삼 요한 남종삼 요한 성인은 남탄교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백부인 남상교 아우구스티노에게 아들이 없어 양자로 들어갔다. 남상교 아우구스티노는 1827년 북경에서 영세를 받고 천주교를 믿었기에 남종삼도 양자로 들어간 후, 부친의 영향으로 천주교 교리를 배운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나타난 성인의 최초 교회 활동은 1861년에 입국한 리델 신부에게 조선어를 가르친 것이었지만 이미 이전 베르뇌,다블뤼 주교 등과 교류하며 교회 일에 참여하였다. 1864년 러시아인들의 통상요구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하면서, 남종삼 요한은 대원군에게 프랑스 주교들을 통해 서구의 열강과 동맹을 맺어 러시아의 남하를 막을 수 있다는 상소문을 올렸고, 대원군이 이를 받아들였으나 마음을 바꾸어 천주교를 박해하게 되었다. 학산묘재성지 -..
-
개갑순교성지 -전북 고창군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22. 11. 19. 20:43
개갑순교성지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고을과 영광군 법성포를 연결하는 중간지점인 공음면 석교리에 위치한 개갑 장터는 조선시대 각종 산물의 집산지로 매우 번창했던 시장이었다. 일제에 의해 폐쇄되어 지금은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이곳은 또한 무장 출신으로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최여겸 마티아(1763~1801)의 순교 터이기도 하다. 윤지충과 이존창에게 교리를 배워 신자가 된 그는 고향 무장으로 돌아와 복음을 전하는데 힘썼다. 신유박해 때 한산의 처가로 피신하였다가 체포된 그는 무장과 전주 감영, 한양 포도청과 형조에서 굳건히 신앙을 증언해 마침내 사형선고를 받고 고향으로 이송되어 개갑 장터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고창군은 개갑 장터의 이런 역사적 · 문화적 가치를 고려해 2004년 향토문화유적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