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관광 으뜸명소 "전주 한옥마을"국내 나들이/관광지(觀光地)로 2013. 5. 11. 17:45
한국관광 으뜸명소 "전주 한옥마을"
전주는 900년 견훤이 세운 후백제의 수도이자,
조선왕조 500년을 꽃피운 탯자리로 두개 왕조를 꽃피운 역사의 중심지였다.
지나온 천년 역사를 자랑하듯 전주는 전통생활양식의 근간인
한옥, 한식, 한지, 한국소리 등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를 담고 있는 곳이다.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과 교동일원에 위치한 전주 한옥마을은
울사조약(乙巳條約,1805년) 이후 대거 전주에 들어오게 된 일본인들이
처음 거주하게 된 곳은 서문 밖, 지금의 다가동 근처의 전주천변(全州川邊)이었다.
서문 밖은 주로 천민(賤民)이나 상인들의 거주지역으로
당시 성안과 성밖은 엄연한 신분의 차이가 있었다.
성곽은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존재했던 것이다.
양곡수송을 위해 전군가도(全郡街道)가 개설(1907년)되면서 성곽의 서반부가 강제 철거 되었고,
1911년말 성곽 동반부가 남문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됨으로써 전주부성의 자취는 사라졌다.
이는 일본인들에게 성안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로 서문 근처에서 행상을 하던 일본인들이 다가동과 중앙동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후 1934년까지 3차에 걸친 시구개정(市區改正)에 의하여
전주의 거리가 격자화(格子化)되고 상권이 형성되면서,
서문일대에서만 번성하던 일본 상인들이 전주 최대의 상권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1930년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세력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인 주택에 대한 대립의식과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였다.
1930년대에 형성된 교동, 풍남동의 한옥군은 일본식과 대조되고
화산동의 양풍(洋風) 선교사촌과 학교, 교회당 등과 어울려 기묘한 도시색을 연출하게 되었다.
오목대에서 바라보면 팔작지붕의 휘영청 늘어진 곡선의 용마루가 즐비한 명물이
바로 교동, 풍남동의 한옥마을(전체면적은 296,330㎡)인 것이다.
전주한옥마을은 2010 한국관광의 별, 2011 한국관광 으뜸명소로 선정되었다.
986 '국내 나들이 > 관광지(觀光地)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황(鳳凰)이 하늘로 솟아 날랐다는 '봉황대(鳳凰臺)' (0) 2013.08.06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0) 2013.06.30 역사의 숨결이 녹아있는 "전주 한옥마을" (0) 2013.05.11 망망대해 일출장관 희망의 전망대(茫茫大海 日出壯觀 希望의 展望臺) (0) 2013.04.12 우리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영주 선비촌" (0) 201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