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청 정취암 원통보전(山靑 淨趣庵 圓通寶殿)
    카테고리 없음 2015. 8. 20. 05:54

     

    산청 정취암 원통보전(山靑 淨趣庵 圓通寶殿)

     

     

    관세음보살을 봉안하는 전각의 이름으로, 다른 이름으로는 원통전, 관음전, 보타전 등으로도 명명하는 것으로서

    모두가 관세음보살을 봉안한 전각을 지칭한 다른 이름이다.

    원통보전(圓通寶殿)이란 관세음보살이 세수천안(눈이 천개 손이 천개)으로서 원통삼매에 들어

    일체 모든 중생들의 소리와 모습을 동시에 모두 듣고 보아 구원하므로 관세음보살의 묘용을 지칭하여 붙인 이름이다.

    정취암 원통보전에는 주불로 정취관세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고, 후불탱화로는 정취관음탱화,

    동편에 신중탱화, 서편에 지장보살상과 지장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정취암(淨趣庵) 원통보전(圓通寶殿) 주련(柱聯)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약인욕료지 삼세일체불) 만일 사람이 과거.미래.현재의 모든 부처님을 알고자 하면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응관법게성 일체유심조) 마땅히 법계의 성품인 모든 것이 마음에서 지어진 것임을 알 것이다.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이 세상 모든 것은 본래부터 스스로 고요하고 청정하므로

    佛者行道爾 內世得作佛(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우리 불자가 이와 같이 닦고 닦으면 내세에는 부처를 이루리라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둔철산로 675-87 (양전리) 대한불교조계종 정취암 =

     

     

     

     

     

    산청 정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山淸 淨趣庵 木造觀音菩薩坐像)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14호(2002년 8월 14일 지정)

     

    정취암 원통보전에 모셔져 있는 불상으로, 연꽃무늬로 장식된 대좌 위에 앉아 있는 관음보살좌상이다.

    정취암은 의상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관음성지로 유명하다.

    이 불상은 불신(佛身)과 엎어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낮은 대좌가 하나의 목재로 조성되었다.

    자세는 등을 세우고 머리부분을 약간 앞으로 내민 모습의 가부좌를 하고 있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는데, 보관은 중앙에 큰 화불(化佛)과 앞뒤로 불꽃무늬 장식이 달려 있으나,

    후대에 따로 만들어 부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얼굴은 네모 반듯하며 턱이 둥근 형태이고, 가늘고 긴 눈, 완만한 콧등,

    입술 양끝에 양감을 주어 미소를 머금은 모습 등이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짧은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를 얕게 표현하였다.

    옷주름선은 대체적으로 간략한데,

    반가부좌하여 드러난 오른발 밑으로 보이는 군의자락을 종아리와 평행하게 드리운 것이 특징적이다.

    규모는 50㎝ 정도의 크기로 안정감이 있고 단아한 인상을 주는 작품으로, 조선후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약인욕료지 삼세일체불)

    만일 사람이 과거.미래.현재의 모든 부처님을 알고자 하면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응관법게성 일체유심조)

    마땅히 법계의 성품인 모든 것이 마음에서 지어진 것임을 알 것이다.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이 세상 모든 것은 본래부터 스스로 고요하고 청정하므로

     

     

    佛者行道爾 內世得作佛(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우리 불자가 이와 같이 닦고 닦으면 내세에는 부처를 이루리라

     

     

     

     

     

     

     

     

     

    산청 대성산 정취암(山靑 大聖山 淨趣庵)

     

    정취암(淨趣庵)은 경남 산청군 소재지에서 동남 방향 약 10km에 위치한 대성산(일명:둔철산)의 기암절벽 사이에 자리한 사찰로

    그 상서로운 기운이 가히 금강에 버금한다 하여 옛부터 소금강이라 일컬었다.

    신라 신문왕 6년(병술, 서기 686년)에 동해에서 장육금신(부처님)이 솟아올라

    두 줄기 서광을 발하니 한줄기는 금강산을 비추고, 또 한줄기는 대성산을 비추었다.

    이때 의상조사께서 두 줄기 서광을 쫓아 금강산에는 원통암을 세우고 대성산에는 정취사를 창건하였다.

    정취암에서 북쪽으로 약 4km에 위치한 율곡사는 원효스님께서 창건하셨는데,

    정취사와 율곡사에 각기 주석하고 계시던 의상 스님과 원효스님께서는 수시로 왕래하며

    수행력을 서로 점검하고 탁마 수행한 일화들이 전해지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조선 중기의 기록에는 정취사로 사명이 기록되어 있는데,

    조선후기에서 구한말 사이에 조성된 불화에는 정취암으로 기록되어 있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취암은 정취관음보살을 본존불로 봉안하고 있는 한국유일의 사찰이다.

    신라 헌강왕 2년(무인, 858년) 굴산 범일선사가 낙산사에 봉안했던 정취보살상을 고려 고종 41년(갑인, 1254년)에

    명주성이 몽고병에 함락될 때 야별초 10인과 사노인 걸승이 땅속에 묻어 난을 무사히 피하게 되었다.

    그 후 기림사 주지스님 각유선사가 이 정취보살상은 국가의 신보이니

    어부(궁궐)에 모실 것을 왕에게 아뢰어 왕의 명을 받아 어 부에 모시게 되었다.

    고려 공민왕 3년(갑오, 1354년)에 화경, 경신 두 거사가 정취사를 중건한 후

    어부에 봉안되어 있던 정취보살상을 정취사로 이운하여 봉안하게 되었다.

    정취사는 고려 공민왕의 개혁 의지를 실현하고 원나라와 이후의 명나라로부터

    관섭을 극복하려는 개혁 세력의 주요한 거점이 되었는데, 산청군에 전해지는 문가학과 정취암에 얽힌 설화는

    당시 보수 세력과 개혁 세력간의 갈등을 설화로 각색 것으로 사료된다.

    정취암은 창건 이래 고승납자들의 요결처가 되었으며,

    조계종 종정을 역임하신 고암 대종사와 성철 대종사께서도 한때 주석하시며 정진 하셨다.

    또한 수많은 선남선녀들이 정취관음보살의 가피력으로 보리대원을 성취하여 최고의 관음성지로 그 명성이 널리 전하여 졌다.

    그러나 무상살귀를 그 무엇인들 거스릴 수 있으리요. 조선 효종 3년 임신 4월 26일(서기 1652년) 화마가 진동하여

    원통보전을 비롯한 모든 전각이 전소하였으며

    이때 정취보살상도 함께 소실되어 창건 이래 가장 큰 비운을 맞았다.

    당시 정취암에서 정진하던 봉성당 치헌선사께서 효종 4년(계사, 서기 1653년)에서 9년(무술, 서기 1658년) 사이에

    화주를 구하고 사재를 내어 중건하였는데

    현재의 목조관음보살좌상(정취관음보살상)은 효종 5년(갑오, 1654년)에 소실된 정취보살 상을 재현하여 조성하였다고 전한다.

    봉성당 치헌선사는 정취암의 중창조로 이후 평생을 정취암에 주석하시면서

    큰 법력으로 중생들을 안위케 하였는데 지금까지도 그 가피의 명성이 전하여 지고 있다.

    선사의 생몰연대는 전하여지지 않으나 입적하신 기일은 음력 12월 20일로 기록되어 있어

    이날을 개산일로 정하여 개산제를 봉행하고 있다.

    (정취암 홈페이지에서 발췌)

     

     

     

    백중(우란분절,盂蘭盆節), 칠석 기도안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부모님과 윗대의 선망조상 영가까지 추모하고 받드는 정성으로

    우란분회를 베풀어서 삼보께 공양하여 부모님께서 길러주신 지극한 은혜를 갚으라”고 하셨습니다.

    이 세상에 나와 인연되어 먼저가신 여러 영가를 천도하시어 유주무주 고혼 영가들의

    이고득락의 길을 열어주는 무량공득을 성취하시기 바랍니다.

    칠석이란? 치성광여래부처님과 일광. 월광 보살님께서 자손의 번영과 무병장수, 가정화평 등을 발원하는 날입니다.

    음력 칠월을 맞아 올리는 백중(우란분절) 기도와 칠석기도에 두루 동참하시어 모든 업장 소멸하여 성불의 인연 맺으시기 바랍니다.

     

     

    316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