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대왕능행차(노량진 배다리행사 재현)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수원사랑/문화예술(文化藝術) 2017. 9. 24. 21:30
정조대왕능행차(노량진 배다리행사 재현)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장조)가 뒤주 속에서 세상을 떠난 후 1776년 25세에 왕위에 올랐다.
정조는 24년의 재위기간 동안 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지금의 화성 융릉인 현륭원으로 옮긴 후
아버지를 참배하기 위해 11년간 총 13번의 원행을 했다.
특히 정조 즉위 20년 해인 1795년에는 어머니인 현경왕후(혜경궁 홍씨)의 회갑이자
아버지 장조의 회갑을 기념해 윤2월 9일부터 16일까지 8일 동안 대규모 행차를 행했다.
이 8일 간의 화성 행차는 ‘원행을묘정리의궤’에 그림과 글로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기록에 따르면 정조는 1795년 윤2월 9일 오전 1km에 달하는 능행차 행렬과 함께 창덕궁을 출발해
보신각 앞길을 지나 숭례문을 통과, 노량진 배다리를 건너 화성 융릉을 참배했다.
능행차에는 6000여 명의 인력과 788필의 말이 동원됐으며 현란한 깃발과 연주가 어우러졌다.
이에 수많은 백성들이 몰려들어 축제 분위기 속에서 능행차 행렬을 구경했고,
정조는 행차 길을 오가며 백성들의 생활 형편을 살피고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며 소통했다.
한편 2017년 9월 23일부터 24일까지 열리는 ‘2017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축제는
서울 창덕궁에서 사도세자의 묘가 있는 경기 화성 융릉까지 총 59.2km 구간을 잇는 정조대왕 능행차를 재현한다.
이번 행사에는 4391명과 말 690필이 투입되었다.
노량주교도섭도(鷺梁舟橋渡涉圖) - 화성행행도팔첩병(華城行幸圖八疊屛)
'화성행행도팔첩병'의 마지막 8폭으로서 1795년 윤2월 16일 노량진(鷺梁津)의 주교(舟橋)를 건너며
서울로 환궁하는 정조와 혜경궁의 행렬장면을 용산 쪽에서 바라보고 묘사한 것이다.
멀리 남쪽의 노량진 용양봉저정(龍槐鳳灣亭)을 뒤로 하고 혜경궁의 화려한 가마가
지금 한강을 가로지른 거대한 주교의 한 가운데 홍살문을 막 통과하고 있다.그리고 그 뒤로 산선(繖扇) 시위(侍衛)에 겹겹이 둘러싸인 정조의 좌마(座馬)가 뒤따르는데,
조선시대의 기록화가 대개 그러하듯 정조는 감히 묘사하지 못하고 말만 묘사하는 상징적 기법을 사용하였다.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의 행궁 앞 홍살문 뒤에는 군주쌍교(郡主雙轎)가 막 길을 돌아 다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36척의 교배선(橋排船)과 240쌍의 난간, 3개의 홍살문, 그리고 수많은 상풍기(相風旗)와
군기(軍旗)가 펄럭이는 거대하고 화려한 주교가 긴 병풍의 화면을실로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전개되어 화면 전체를 압도하고 있다.
이 주교는 기왕의 부교(浮橋)에 위험성과 번거로움이 많았기 때문에
1789년 정조가 새로이 고안 설치하며 시작된 것이다.따라서 이 주교는 한편으로 정조의 지혜(智慧)와 애민(愛民)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의궤어 이'주교도(舟橋圖)'가 강조되어 그려진 것도 이 때문인데,
이 그림은 여기에 화려한 행렬을 첨가하여 완성함으로써 이제 정조의 효성(孝誠)까지 담고 있다.
이 병풍의 8폭 중에 환어장면이 2폭에 걸쳐 그려진 것도 주교가 시각적 효과도 좋지만
이처럼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주교의 앞뒤로 끝이 없는 수행행렬은 장대한 주교를 더욱 강조해 준다.
그리고 주변에 구경나온 많은 사람들은 이 그림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꾸며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생한 풍속화의 성격을 부여해 주고 있다.
아울러 주교의 인물과 주변의 경치가 분리되지 않고 적절히 연결되며 조화되도록 만드는
놀라운 조형적 작용도 발휘하고 있다.
여기에 다시 주교가 뒤로 갈수록 좁아지고 주교 뒤편의 정조는 다리 앞의 백성들보다도
작을 정도로 엄격한 초점투시법을 적용하여 묘사함으로써 화면전체가 더욱 생생한 현장감을 얻고 있다.'수원사랑 > 문화예술(文化藝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대왕 화산능행차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0) 2017.09.25 2017 세계의상페스티벌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0) 2017.09.25 혜경궁홍씨 진찬연(惠慶宮洪氏 進饌宴)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0) 2017.09.24 수원시민과 함께하는 꽃예술전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0) 2017.09.23 정조대왕 친림과거시험 무과재현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0) 2017.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