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주 황새바위성지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18. 10. 27. 18:27
공주 황새바위성지
충청남도 공주는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피를 뿌린 곳이다.
후백제를 일으키기 위해 수많은 군사들이 일어나서 웅진에서 싸우다가 나당 연합군에게 쓰러져 피를 흘렸다.
동학 농민운동 때에는 전라도에서 발호한 수만 명이 우금치 고개를 넘어 공주로 들어오다가 참패해 죽음을 당했다.
의로운 피를 수없이 흘린 공주는 한국 천주교회사 안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많은 순교자들의 피가 뿌려진 거룩한 땅이요. 충남 지역 신앙의 요람으로 전해진다.
공주는 한국 천주교 순교사 처음부터 끝까지 장엄한 신앙 고백의 피를 이어받았다.조선 땅에서 천주교 박해가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1791년 진산 사건으로 순교한
복자 권상연 야고보는 공주에서 이주해 살다가 전주 땅에서 순교했고,
'내포 지방의 사도'라 불리는 이존창 루도비코가 1784년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에게 영세 입교한 후
충청도 지방을 전교할 때 공주 지역은 그의 중요한 선교 거점이 되었다.
공주에는 일찍부터 충청도를 관할하는 관찰사와 공주 감영이 있었다.충청도 각 지역에서 잡혀 온 천주교인들은 공주 감영으로 이송되어 배교를 강요당하고 이를 거부할 때에는 여지없이 사형에 처해졌다.
공주에서 처형된 순교자들의 출신지를 보면 홍주 · 예산 · 해미 · 덕산 · 신창 · 홍산 · 연산 · 청양 · 보령 ·
진잠 · 유구 · 직산 · 천안 · 공주 · 비인 · 면천 등 충남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충북의 청주 · 진천 · 연풍 · 옥천, 전라도의 전주 · 광주, 경기도의 죽산 · 포천 그리고 한양 출신의 유배 신자 등 매우 다양하다.
충청도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붙잡힌 교우들이 공주 감영으로 이송되어 왔고,
끝까지 배교를 거부함으로써 바로 이곳 '황새바위'라고 불리는 자리에서 처형되었다.
공주 황새바위에서 순교한 교우들 중 이름이 밝혀진 순교자들만 해도 무려 248명에 이른다.
이중 가장 널리 알려진 순교자로는 병인박해 때 공주 감영에서 문초를 받으면서 관장이 살을 물어뜯어
신앙을 증거하라고 명하자 주저 없이 제 살을 물어뜯음으로써 배교하지 않고 신앙을 증거한 손자선 토마스 성인과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내포 지방의 사도' 이존창 루도비코가 있다.
황새바위 성지는 2012년 3월부터 1차 종합개발을 통해 성지의 면모를 일신하였다.
성지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정상에 황새바위 광장과 야외성당을 조성하고,
입구 공간을 정비하며 사무실과 쉼터(카페 몽마르뜨) 등을 신축하였다.
특히 1983년 건립 당시 재원 부족으로 콘크리트에 판석을 붙여 세운 기념비적 건축물인 무덤경당도
원래 설계대로 보령 오석을 이용해 통돌쌓기 방식으로 새로 건립하여 2012년 10월 20일 축복식을 가졌다.
이어 2014년 순교자 광장의 순교탑을 보수하며 내부에 기도실을 조성했고,2015년 황새바위 광장으로 오르는 언덕에 빛의 길과 묵주기도 길 등을 조성하고,
황새바위 광장에 두 번째 십자가의 길과 십자가 언덕을 조성하였다.
또한 순교자 광장과 공주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아담하게 부활성당을 건립하고
그 앞에 순교자의 모후상을 모신 성모 광장을 조성하였다.
장기적으로는 옛 공주교도소 자리에 성지 성당을 신축하고 기존 성당을 순교기념관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이전 예정인 성지 맞은편 공주시 교육지원청 건물과 부지를 매입해
피정의 집과 교육관 · 사제관 · 수녀원 · 식당 등 편의시설을 갖출 계획도 갖고 있다.
박해 시대 한국 천주교회의 심장으로 불리었던 공주는 100여 리 안팎으로 주변에 대전을 비롯한조치원 · 온양 · 예산 · 당진 · 서산 · 대천 · 유구 · 논산 · 부여 등이 인접해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공주는 황새바위 순교성지뿐만 아니라 사적 제12호인 백제 시대의 대표적 고대 성곽인 공산성과 계룡산, 무령왕릉 등
백제 시대 고도(古都)의 정취를 곳곳에서 느낄 수 있는
문화 유적지들이 산재해 있어 순례와 유적지 답사를 겸할 수 있는 흔치 않은 명소이다.
공주 황새바위는 한국 천주교 역사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적 증언지 중 하나로 그 의미가 크다.
공주에는 일찍부터 충청남북도를 관할하는 관찰사와 지금의 시에 해당하는 감영이 있었다.
이곳 공주 감영에서는 각 지방에서 잡혀 숱한 심문과 무서운 고문을 당하고도
배교하기를 거절하였을 때에는 감사의 명에 의해 황새바위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는데,
충청도 각 지방뿐 아니라 타 지역으로부터 끌려와 이곳에서 최후를 맞이하는 교우들도 많았다.
충남의 홍주, 예산, 해미, 덕산, 신창, 홍산, 연산, 청양, 공주, 이인, 탄천과
충북의 청주, 진천, 연풍, 옥천, 전라도 전주, 광주, 경기도 죽산, 포천, 그리고 한양의 교우들이 공주에 와서 순교 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시 왕릉로 118 (교동)
성호경(聖號經)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인하여 하나이다. 아멘
천주경(天主經)
하늘에 계신 우리 아비신 자여,
네 이름의 거룩하심이 나타나며,
네 나라이 임하시며,
네 거룩하신 뜻이 하늘에서 이룸 같이,
땅에서 또한 이루어지이다. 오
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우리 죄를 면하여 주심을,
우리가 우리에게 득죄한 죄를 면하여 줌 같이 하시고,
우리를 유감(遺憾)에 빠지지 말게 하시고,
또한 우리를 흉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 유감(遺憾) : 섭섭하거나 불만스러운 느낌. 의심과 온갖 유혹들. 마음에 차지 않아 못마땅히고 섭섭한 느낌.
성모경(聖母經)
성총(聖寵)을 가득히 입으신 마리아여
네게 하례(賀禮)하나이다.
주 너와 한가지로 계시니,
여인 중에 너 총복(總福)을 받으시며,
네 복중에 나신 예수 또한 총복을 받아 계시도소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는,
이제와 우리 죽을 때에 우리 죄인을 위하여 빌으소서. 아멘.
※ 성총(聖寵) : 천주가 내리는 초성 은혜. 생명의 은총과 도움의 은총이 있다.
※ 하례(賀禮) : 축하하여 예를 드림. 성모님께 드리는 높은 인사말
※ 총복(總福) : 하느님의 모든 은총
영광경(榮光經)
영광이 부와 자와 성신께
처음과 같이 또한 이제와 항상 무궁세에 있어지이다. 아멘
오사례(五謝禮)
하느님께서 내려주신 다섯가지 은혜를 감사하는 기도문
一, 천주께 생양(生養)하시고 돌아보시는 은혜를 사례하나이다.
二, 천주께 강생 구속하신 은혜를 사례하나이다.
三, 천주께 죄를 사하시며, 성총을 주시는 은혜를 사례하나이다.
四, 천주께 나를 성교에 나오게 하시고, 나를 천당길로 이끄시는 은혜를 사례하나이다.
五, 천주께 내심으로 부터 이제까지의 무수한 은혜를 사례하나이다.
오배례(五拜禮)
하느님을 공경하여 드리던 다섯 가지 기도문.
一, 천주를 믿고 일체 사망한 일을 다 끊어버리나이다.
二, 천주 우리를 보우(保佑)하시고 모든 죄과를 사하심을 바라나이다.
三, 지극히 높으시고 어지신 주를 만유(萬有) 위에 사랑하고 공경하나이다.
四, 일심으로 우리 죄과를 아파 뉘우쳐 마음을 정하여 다시 감히 주의 명을 범치 않으려 하나이다.
五, 간절히 성모께 비오니 전차(前借)로 천주께 구하사, 우리에게 죽을 때까지 선에 항구한 마음을 주시게 하소서.
※보우(保佑) : 하느님께서 우리를 보호하고 지켜주신다는 뜻. 보살피어 도와줌.
※만유(萬有) :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
※전차(前借) : 어던 조건으로 갚기로 하여 빚을 쓴다는 것. 어떤 조건아래 갚기로 하고 빚으로 씀.
부모를 위하여 하는 경(經)
인자하신 천주여 너 명하사,
부모에게 덕을 갚고 은혜를 사례하고,
또 사랑하고 공경하라 하여 계시나,
나는 이에 작고 작은 것이라.
털끝만치도 갚을 능이 없으니,
빌건대 주는 네 도우심으로,
나의 및지 못함을 기우사
네 명을 준행케 하소서.
이러므로 네게 구하오니,
주여 우리 부모에게 성총을 주사,
세상에서 선을 행하고 육신이 평안하고,
영신이 조촐하여,
신후(身後)에 천상 영복으로,
온전히 갚음을 얻어 누리게 하소서. 아멘
※신후(身後) : 죽은 이후
도우심을 구하는 경(經)
전능하신 천주여,
너 우리를 오늘날까지 있게 하신지라.
비오니 주의 덕능으로 우리를 구하사,
오늘날 일체 죄에 떨어지지 말게 하시고,
또한 생각과 말과 행위를 인도하사,
주의 명을 정성으로 받들게 하시되
우리 주 그리스도를 인하여 하소서 . 아멘
천지대군 오 주 천주여,
오늘날 우리의 마음과 몸과 생각과 말씀과 행실을,
바르고 거룩케 하시며,
어거(御居)하고 다스리사,
네 법령과 계명을 좇아 지키게 하사,
우리로 하여금 너 구세주의 도우심으로,
이제와 무궁세에 구함을 입게 하소서. 아멘
※어거(御居) : 하느님께서 우리의 영혼에 현존하시고 바른 길로 이끄신다는 의미. 바른길로 나아가게 함.
희락 삼종경(喜樂 三鐘經)
(계) 천상의 모후여 즐기소서. 알렐루야.
(응) 이미 너 잉태하신 자. 알렐루야.
(계) 전에 하신 말씀대로 부활하여 계심이로다. 알렐루야.
(응) 우리를 위하여 천주께 빌으소서. 알렐루야.
(계) 동정 마리아여 기뻐하시며 즐기소서. 알렐루야.
(응) 주 참으로 부활하여 계심이로다. 알렐루야.
빌지어다.
천주여, 이미 네 아들 오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온 천하를 즐겁게 하신지라.
구하오니 우리로 하여금그 모친 동정 마리아를 힘입어,
상생(常生)의 낙을 누리게 하시되,
우리 주 그리스도를 인하여 하소서. 아멘.
※상생(常生) : 영원한 생명. 예수를 믿고 그 가르침을 행하여 천국에서 행복하고 안락하게 영원히 삶.
'국내 나들이 > 천주교(天主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천주교회의 사적지와 유적지 안내 (0) 2018.12.01 순례자를 위한 십자가의 길(천주교 진산성지) (0) 2018.11.11 천주교 서울대교구 잠실성당 (0) 2018.10.25 화서동성당 본당설정 40주년기념 음식바자회 (0) 2018.10.18 가톨릭 목포성지, 십자가의 길 14처 (0) 201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