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십이지신상 탁본(十二支神像 拓本) - 혜안 스님의 서각 특별전
    일상생활속에서/작품속으로 2019. 10. 26. 20:08

    십이지신상 탁본(十二支神像 拓本) - 혜안 스님의 서각 특별전


    십이지(十二支)라는 개념은 중국의 은()나라에서 비롯되었으나,

    이를 방위(方位)나 시간에 대응시킨 것은 대체로 한()나라 중기로 알려져 있다.

    다시 이것을 쥐(,(,(,토끼(,(,(,(,(,원숭이(,

    (,(,돼지(,) 등 열두 동물과 대응시킨 것은 훨씬 후대의 일로, 불교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나라 시대에 와서는 십이지생초(十二支生肖)를 조각한 석재 및 토우가 묘지장식에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고분의 둘레에 설치한 호석(護石)에 십이지신상을 조각한

    경주 괘릉(掛陵)이나 김유신묘(金庾信墓)가 최초의 것으로 보인다.

    성덕왕릉(聖德王陵)은 호석이 넘어지지 않도록 삼각형 기둥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따로 환조한 십이지신상을 세운 특이한 예이며,

    그 이후의 왕릉에는 괘릉과 마찬가지로 호석면에 십이지신상을 양각(陽刻)하였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입상(立像) 뿐만 아니라 좌상(坐像)도 나타나고,

    라의 예처럼 면석(面石)에만 조각한 것과 반대로 안에 끼운 널판 돌에 새기기도 했으며,

    음각(陰刻)한 것도 간혹 나타난다.  





    ()





    ()





    (호랑이)





    (토끼)





    ()





    ()





    ()





    ()





    (원숭이)





    ()





    ()





    (돼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