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향정내 고비군(태인 태창리 비석군)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20. 7. 14. 22:56
피향정내 고비군(태인 태창리 비석군)
피향정(披香亭) 경내에 있는 비석군으로 모두 21기로, 그중 3기는 파손된 상태이며,
1822년(순조 22)에 건립한 순찰사 이서구영세 불망비와
1910년 건립한 군수 홍범식 애민 선정비 등 석비 2기를 제외하고는
1970년경 태인면 곳곳에 산재해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와 세운 것이다.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51 (태창리 101)
홍범식 군수 선정비(洪範植 郡守 善政碑)
1910년에 세운 것으로 전면에「군수 홍후범식(郡守 洪侯範植) 애민선정비(愛民善政碑)」라 새겼고뒷면에는「여학선치(與學善治) 향인입비송덕(鄕人立碑頌德) 경술입절(庚戌立節)」이라 했다.
작은 돌거북 위에 비신(碑身)은 높이 151cm, 폭은 53cm, 두께는 22cm이다.
1910년 당시는 금산군수(錦山郡守)로 있었는데 일제(日帝)가 강점(强占)하자 자결하였다.
그 뒤에 세운 것이다. 한말(韓末) 태인현감(泰仁縣監)을 지냈다.이서구 순찰사 불망비(李書九 巡察使 不忘碑)
1822년(純祖 22)에 세운 것으로 앞면에 「순찰사 이공서구(巡察使 李公書九)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뒷면에 「도광 2년 임오 10월 18일입(道光 二年 壬午十月十八日立)
별유사추방욱 정용주(別有司 秋芳郁 鄭龍周)」라 새겼다.
이서구는 1793년(正祖 17)에 관찰사(觀察使)로 도임하고 정조 19년 4월에 떠났다.
1820년(純祖 20年) 10월에 다시 도임하여 순조 22년 3월에 떠났다.
이해가 도광 2년 임오이다.
기대석(基台石) 위에 관석(冠石)이 있는 비신(碑身)은 높이 64㎝, 폭 57㎝, 두께 20㎝이다.현감 홍계적 불망비(縣監 洪啓迪 不忘碑)
숙종(肅宗) 때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비면(碑面)에「현감 홍후계적(縣監 洪侯啓迪)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라고 새기고
좌우에 「선△일주(善△一周)」 「태품중신△유천춘(太 重新△流千春)」이라 하였다.
홍게적 현감은 숙종(肅宗) 42년(1716) 정월에 부임했다가 바로 교리(敎理)로 전임되었다.
높이 158㎝, 폭 50㎝, 두께 17㎝현감 송지렴 선정비(縣監 宋之濂 善政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숙종(肅宗) 때로 추정한다.
비면(碑面)이 마멸되어 판독하기 어려우나 현감 송지렴은재임기간이 현종(顯宗) 1년(1660) 3월에서 7월까지이다.
비면(碑面)에 「현감 송후지렴(縣監 宋侯之濂) 청백선정비(淸白善政碑)라 새겨져 있으며높이 173㎝, 폭 73㎝, 두께 18㎝이다.
현감 김수일 선정비(縣監 金壽一 善政碑)
연대는 미상이나 숙종(肅宗) 때로 추정된다.
비신(碑身)의 웃 부분이 끊어져 「현감김(縣監金)」이 없는체「○○○후수일(候壽一) 청덕강명휼민 선정비(淸德剛明恤民善政碑)」라 새겨져 있다.
확실치는 않지만 김수일이 아닌가 한다.
현감 김수일은 현종(顯宗) 10∼12년(1670∼1672) 사이에 재임하였다.
현지(縣誌)에 「갈성진민(竭誠賑民) 포승계입비(褒陞階立碑)」라 보인다.
비신(碑身)의 현재 높이는 124cm, 폭 73cm, 두께 18cm이다.현감 라수 선정비(縣監 羅袖 善政碑)
현종(顯宗) 때로 알려져 있으나 효종 ~ 현종 때로 추정된다.
현감 라수는 인조(仁祖) 27년 ~ 효종 4년(1649∼1653)까지 재임하였다.
비석 높이 116cm, 폭은 59cm, 두께는 18cm이다.현감 김이회 불망비(縣監 金履會 不忘碑)
김이회는 정조(正祖)말 ~ 순조초(純祖初) 사람으로 이 비(碑)는 순조초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비면(碑面)에 「현감 김후이회(縣監 金侯履會)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라 새겼다.
현감 김이회는 정조(正祖) 16년(1816) 태인동현(泰仁東軒)을 중건(重建)하였다.
높이 92cm, 폭 16cm이다.'국내 나들이 > 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령변장하마비(守令邊將下馬碑) - 인천 교동향교 (0) 2020.07.29 하마비(下馬碑)와 화소비(火巢碑) (0) 2020.07.24 오산 궐리사 대소인하마비(烏山 闕里祠 大小人下馬碑) (0) 2020.06.27 고산자 김정호 약현에 살다. (0) 2020.03.19 구 유엔군 초전 기념비(Old UN Forces First Battle Monument) (0) 202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