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 국보 제86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1. 2. 19. 19:14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 국보 제86호
경천사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부소산에 있던 절로, 고려시대 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 세워져 있었던 이 탑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무단으로 반출되었던 것을 되돌려 받아
1960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세워 놓았다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놓았다.
3단으로 된 기단(基壇)은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이고,그 위로 올려진 10층의 높은 탑신(基壇) 역시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이었다가,
4층에 이르러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기단과 탑신에는 화려한 조각이 가득 차 있는데,
부처, 보살, 풀꽃무늬 등이 뛰어난 조각수법으로 새겨져 있다.
4층부터는 각 몸돌마다 난간을 돌리고, 지붕돌은 옆에서 보아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형태의 기와골을 표현해 놓는 등
목조건축을 연상케 하는 풍부한 조각들이 섬세하게 새겨져 있다.
탑의 1층 몸돌에 고려 충목왕 4년(1348)에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만들어진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새로운 양식의 석탑이 많이 출현했던 고려시대에서도 특수한 형태를 자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석탑의 일반적 재료가 화강암인데 비해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도 특이하다.
전체적인 균형과 세부적인 조각수법이 잘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태로 눈길을 끌며,
지붕돌의 처마가 목조건축의 구조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어
당시의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이러한 양식은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러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제2호)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일본으로 반출되면서 훼손되었던 원래의 탑 형태를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복원작업을 거쳐현재 새로 개관한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
자료검색 :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heritage.go.kr/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 대량 살상 폭탄 (0) 2021.02.21 사천왕도(동방지국천왕) (0) 2021.02.20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국보 제116호 (0) 2021.02.18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국보 제152호 (0) 2021.02.17 조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국보 제151-6호) (0) 20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