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仁穆王后御筆 七言詩) - 보물 제1627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1. 7. 9. 19:48
늙은 소 힘쓴 지 이미 여러해(老牛用力 已多年, 노우용력 이다년)
목 부러지고 가죽 헤어져 잠자기만 좋아하네(領破皮穿 只愛眠, 영파피천 지애면)
쟁기질, 써레질 이미 끝나고 봄비도 충분한데(犁耙已休 春雨足, 이파이휴 춘우족)
주인은 어찌하여 괴롭게도 또 채찍을 가하네(主人何苦 又加鞭, 주인하고 우가편)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仁穆王后御筆 七言詩) - 보물 제1627호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仁穆王后御筆 七言詩)」는 선조(宣祖)의 계비(繼妃)인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가 큰 글자로 쓴 칠언절구의 시이다.
종이바탕에 4행으로(각행 7자) 썼으며 근대에 족자로 장황되었다.
어필 아래에는 서예가 배길기(裵吉基)의 1966년 발문이 있다.
바탕은 보존이 양호한 편이며 다만 줄[行] 사이가 좀 더 밝다.
한편 어필 칠언시 28자의 점획 안에는 제월당(濟月堂)이란 스님의
발원문 29자가 작은 글자로 진하게 쓰여 있다.
칠장사는 인조가 반정으로 등극한 1623년에 인목왕후가 친정아버지와
아들(영창대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원당(願堂)으로 삼아 중창한 사찰로
이곳에는 인목대비가 썼다는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사경>이
전래되었는데(현 동국대박물관 소장), ‘인목왕후 칠언시’와 서풍이 같다.
인목왕후의 글씨는 선조어필과 비슷하며 그의 딸 정명공주(貞明公主)가 따라 썼다.
이 어필을 나무판에 모각한 것(명안공주관련유물(明安公主關聯遺物, 보물 제1220호))과검은비단에 금니로 모사한 것이 전하는데(국립중앙박물관, 德 2053) 모두 이 어필과 자형이 같다.
다만 모본에서는 칠언절구 28자를 3행으로 배열하고(각행 10자) 글자 사이를 조절하였다.조선시대 열성(列聖)의 어필이 많이 모각되었는데,
이처럼 모각된 어필의 원적(原蹟)이 남아 있는 예는 매우 드물다.
특히 왕후의 글씨는 간찰체제로 자필 또는 서사상궁의 필치로는 전하고 있지만
한자 대자(大字)는 명성왕후의 예필을 빼면 현재로서는
‘인목왕후 칠언시’ 외에 사례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리) 칠장사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온공주 당의(德溫公主 唐衣) - 국가민속문화재 제1호 (0) 2021.07.11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七長寺 三佛會 掛佛幀) - 보물 제1256호 (0) 2021.07.1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七長寺 五佛會 掛佛幀) - 국보 제296호 (0) 2021.07.09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 - 보물 (0) 2021.07.06 조선말 큰사전 원고(朝鮮말 큰辭典 原稿) - 국가등록문화재 제524호 (0) 2021.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