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주김씨(慶州金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
    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2. 19. 04:06

    작품명 : 화합과 번영

     

    조각가 : 김지삼

    작품 설명 : 고고(呱呱)한 신라(新羅) 천년(千年)의 여명(黎明)을 열어,

    하늘을 찌를 뜻한 용맹(勇猛)과 기상(氣像)으로 웅비(雄飛)의 새 역사를 창조하고,

    새 시대(時代) 광명(光明)의 세대(世代)에 만백성과 더불어 이 땅에 화평(和平)과 안락(安樂)

    이루어 자손만대 번영(繁榮)과 복락(福樂)을 누리기를 기원(祈願)하는 의미를 담음.

    경주김씨, 그들에게 영광 있으라!!

     
     
     
     

    경주김씨(慶州金氏) 유래

     

    경주김씨 시조(始祖)는 신라 대보(大輔)의 벼슬을 지내신 알지(閼智) 공(公)이시다.

    공(公)은 서기 65년 봄 3월 밤에 지금의 경주시 교동 소재의 계림에서 탄강하셨다.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의하면, 왕이 금성(金城) 서쪽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고,

    새벽에 신하를 보내 알아보게 하니 숲속에서 찬란한 빛이 밝게 빛나고 자주(紫朱) 빛 구름이

    하늘에서 땅까지 드리워지고 구름 속으로 보이는 나뭇가지에는 황금 상자가 걸려 있는데

    그 상자 속에서 빛이 나오고 나무 밑에서는 흰 닭이 울고 있었다.

    왕이 숲으로 가 그 상자를 열어보니 사내아이가 누워 있다가 곧장 일어났는데

    그 아이의 자태와 용모가 범상치 아니하므로 왕이

    “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내린 아들이 아니겠는가” 라고 기뻐하며

    어가(御駕)에 태워 대궐로 돌아오는데 새와 짐승들이 서로 기뻐 춤을 추며 뒤를 따랐다.

    자라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니 그 이름을 알지(閼智)라 하고 성은 금궤에서 나왔다고 하여

    김(金)이라 하였다. 그 후 태자로 책봉하여 왕위에 오르시게 하였으나 극구 사양하시고,

    재상(宰相)인 대보(大輔)의 벼슬을 제수(除授)받아 대보공(大輔公)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 후 공의 7세손인 김미추(金味鄒)가 경주김씨로는 첫 왕위에 오르시니

    이분이 곧 신라 제13대 미추왕이시다.

    신라 992년간 56왕 중 경주김씨 38왕이 왕위에 올라 신라 천년의 치세(治世)를 누렸다.

    우리 경주김씨 38왕이 신라를 다스리는 동안 화백회의를 통하여 고대사에 유례가 없는 민주정치를

    구현하고 화랑도와 세속오계를 창도(唱導)하여 나라를 이끌 인재의 양성과 백성의 나아갈 바를

    가르쳐 3국 통일의 대업을 이루고 불국사, 석굴암, 첨성대와 같은 불후의 민족문화의 정수(精髓)인

    신라 문화와 예술을 꽃 피워냈다. 우리 경주김씨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을 중시조로 하여

    본관을 경주로 득관(得貫)하여 선조의 숭고한 애족애민 사상과 찬란한 신라 문화창달의

    예지(睿智)를 이어 받아 국내 유수의 명문거족으로 크게 번성해 왔다.

    이 글을 읽는 우리 경주김문 후손들이여!

    자랑스러운 신라 왕손의 후예임을 잊지 말고, 빛나는 선조의 얼을 오늘의 되살려

    원대한 꿈을 품고 진취적인 기상과 불같은 열정으로 오늘을 살라!!
    신라 기원 2065년(서기 2008년 10월)
    경주김씨중앙종친회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47 (안영동) 중구 효문화마을관리원 뿌리공원 內

     
     
     
     

    신라 경주김씨 38왕 일람표(新羅 慶州金氏 38王 一覽表)

     

    김씨왕 제1대(신라왕 13대) - 미추왕(味鄒王, 재위 262~282, 22년)

    제2대(17대) - 내물왕(奈勿王, 재위 356~402, 46년)

    제3대(18대) - 실성왕(實聖王, 재위 402~417, 16년)

    제4대(19대) -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41년)

    제5대(20대) - 자비왕(慈悲王, 재위 458~479, 22년)

    제6대(21대) - 소지왕(炤智王, 재위 479~500, 21년)

    제7대(22대) - 지증왕(智證王, 재위 500~514, 14년)

    제8대(23대) - 법흥왕(法興王, 재위 514~540, 26년)

    제9대(24대) -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 36년)

    제10대(25대) - 진지왕(眞智王, 재위 576~579, 3년)

    제11대(26대) - 진평왕(眞平王, 재위 579~632, 53년)

    제12대(27대) - 선덕여왕(善德女王, 재위 632~647, 15년)

    제13대(28대) - 진덕여왕(眞德女王, 재위 647~654, 7년)

    제14대(29대)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재위 654~661, 7 년)

    제15대(30대) - 문무왕(文武王, 재위 661~681, 20년)

    제16대(31대) - 신문왕(神文王, 재위 681~692, 11년)

    제17대(32대) - 효소왕(孝昭王, 재위 692~702, 10년)

    제18대(33대) - 성덕왕(聖德王, 재위 702~737, 35년)

    제19대(34대) - 효성왕(孝成王, 재위 737~742, 5년)

    제20대(35대) - 경덕왕(景德王, 재위 742~765, 23년)

    제21대(36대) - 혜공왕(惠恭王, 재위 765~780, 15년)

    제22대(37대) - 선덕왕(宣德王, 재위 780~785, 5년)

    제23대(38대) -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 14년)

    제24대(39대) - 소성왕(昭聖王, 재위 799~800, 1년)

    제25대(40대) - 애장왕(哀莊王, 재위 800~809, 9년)

    제26대(41대) - 헌덕왕(憲德王, 재위 809~826, 17년)

    제27대(42대) -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 10년)

    제28대(43대) - 희강왕(僖康王, 재위 836~838, 2년)

    제29대(44대) - 민애왕(閔哀王, 재위 838~839, 1년)

    제30대(45대) - 신무왕(神武王, 재위 839~839, 4월)

    제31대(46대) - 문성왕(文聖王, 재위 839~857, 18년)

    제32대(47대) - 헌언왕(憲安王, 재위 857~861, 4년)

    제33대(48대) - 경문왕(景文王, 재위 861~875, 14년)

    제34대(49대) - 헌강왕(憲康王, 재위 875~886, 11년)

    제35대(50대) - 정강왕(定康王, 재위 886~887, 1년)

    제36대(51대) - 진성여왕(眞聖女王, 재위 887~897, 10년)

    제37대(52대) - 효공왕(孝恭王, 재위 897~912, 15년)

    제38대(56대) - 경순왕(敬順王, 재위 927~935, 9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