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 농가(南部地方 農家) -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경기도 용인시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남부지방 농가이다.‘일자형(-자형)’을 기본으로 한 안채는 부엌에 딸린 부엌 방을 약간 달아내어서 변화를 보였다.방 사이에는 큰 마루가 없이 두방이 밀착된 점과 뒤쪽에 안사랑과 ..
중부지방 민가(中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중부지방에서는 흔하지 않은 일(一)자형이면서 겹집에 가까운 가옥 형식이다.부엌머리의 안방 다음에 있을 대청이 앞면으로 쏠리고 안방 옆으로 두 개의 방이 맞붙어 세 개의 방이 밀집되어 있다.마루는 대청과 툇마루의 중간적 형식이다.= 경..
중부지방 민가(中部地方 民家) - 한국민속촌 중부내륙지방의 생활과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는 민가이다.안채는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방 특유의 ㄱ자형나 부엌 안에 칸막이를 하여 광을 둔 점이 특이하다.부엌에 연하여 안방이 2칸 통으로 길게 연한 것 또한 서울의 민가와 상통하는 형식..
한국민속촌 대표 공연 "농악놀이" 한국민속촌 농악단 정인삼 선생은 한국민속촌의 농악단을 지키면서 호남우도 농악의 명맥을 지켜오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6호 경기고깔소고춤(京機고깔小鼓儛) 보유자로 선정되는 등 사라져가는 우리문화 전승에 크게 이바..
남부지방민가(南部地方民家)- 서당집 이 가옥은 남부 특유의 일(-)자형집 두채를 ㄱ자형으로 배치한 형식이다.안채는 한 가운데에 마루 한 칸이 있고, 그에 연해 두 개의 온돌방이 있어 규모에 변화가 있으며아래채에도 양쪽에 두 개의 마루방이 있어 수장 공간의 규모가 증가 했음을 보..
너와집(木瓦房) - 한국민속촌너와(木瓦)로 지붕을 이은 집이라 해서 너와집이라 한다.이집은 강원도 지방의 너와집을 복원한 것으로 외양간과 부엌, 방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부엌에서 나온 연기가 판자로 된 천장을 싸 감아서 방의 보온, 방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또한 ..
빗물을 모아서 식수로 활용한 "촘항"물이 귀했던 화산섬 제주에서는 빗물을 모아서 식수로 활용하였다.새를 머리 댕기모양으로 땋은 “촘"을 나무 밑둥에 걸어 빗물을 한곳으로 모으고 불순물을 걸러냈는데,이럴 촘항, 참항, 참항아리 등으로 불렀다.과거 촘항에는 개구리가 있어 먹을 수..
고향의 맛과 정취가 물씬 풍기는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장터" 한국민속촌 장터는 훈훈한 인정이 묻어나는 장터는 옛 정취를 맛보며 마음을 달랠 수 있는 조선시대의 저잣거리이다. 유기공방, 부채공방, 엿공방 등 갖가지 풍물을 볼 수 있는 전통 공방거리와 정성스런 고향의 맛을 맛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