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內藏山國立公園 內藏寺) 내장사 일주문(內藏寺 一柱門) 일주문은 산문(山門)이니 여기서부터는 절안이다. 일주문을 넘어서는 바로 이순간은 온갖 번뇌와 망상, 혼란한 생각을 여의고 깨달음의 일념으로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入地門來 莫存知解! 이 ..
내장산 케이블카(內藏山 Cable car) 내장산 케이블카는 1980년 개통하여 탐방안내소부터 연자봉 중턱(연자대 전망대)까지 운행을 한다. 정원 50명의 케이블카는 길이 668m를 가공삭도(架空索道) 왕복식으로 매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상부 정류장에서 내려서 300m정도 거리에 위치한 전망대에..
내장산 국립공원(內藏山 國立公園) 내장산(內藏山,해발 763m)은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입암면, 순창군 복흥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의 경계에 있는 산. 노령산맥의 중앙에 솟아 있으며, 주봉인 신선봉을 비롯하여 월령봉· 서래봉· 연지봉· 장군봉 등 600~700m의 기암괴봉들이 동쪽..
조선왕조실록 내장산이안사적비 (朝鮮王朝實錄 內藏山移安事績碑)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전주사고(全州史庫)의 왕조실록을 내장산 용굴(龍窟)에 이안(移安)하여 안의(安義)· 손홍록(孫弘祿)· 내장사주지 희묵(內藏寺 主持 希默) 등과 무사(武士) 100여명· 의병 1000여명이 전국 5군데 사고..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하였다는 우화정(羽化亭) 내장산 진입로에 있는 우화정은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昇天)하였다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羽化亭)'이라고 부른다. 이곳은 1482년 무렵 내장산성(內藏山城)이 있었던 곳으로 승군(僧軍)과 왜적(倭敵)이 격렬한 전투를 벌인 장소이다. 오..
내장산(內藏山) 굴거리나무 군락지(群落地) 굴거리나무는 우리나라 및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지대와 제주도, 전라도의 내장산·백운산 등 따뜻한 지방에서 자란다. 한자어로는 교양목(交讓木)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새잎이 난 뒤에 지난해의 잎이 떨..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