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자인당(浮石寺 慈忍堂), 응진전(應眞殿), 단하각(丹霞閣)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부석사 자인당(浮石寺 慈忍堂) 자인당은 선방의 용도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부석사에서 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폐사지에서 옮겨 온 석불을 이곳에 이..
해남 대흥사 응진전 앞 삼층석탑(海南 大興寺 應眞殿 三層石塔) - 사리탑 보물 제320호 해남 대흥사 응진전 앞 삼층석탑(海南 大興寺 應眞殿 三層石塔) - 사리탑 보물 제320호 탑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것으로 불교의 상징적인 신앙대상이다. 이 석탑은 높이 4.3m로 신라 석탑의 전..
기림사 응진전(祇林寺 應眞殿) - 경북 유형문화재 제214호 이 곳은 아라한(阿羅漢)을 모신 건물로, 대적광전(大寂光殿)을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에 지어진 것으로 전하지만, 조선 후기에 다시 중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은 기둥 6개의 5칸이고 ..
울진 불영사 응진전(蔚珍 佛影寺 應眞殿) 불영사(佛影寺)는 신라 진덕여왕(新羅 眞德女王) 5년(651)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세웠다고 전하는데,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조선 태조 5년(1396) 나..
동화사 영산전(桐華寺 靈山殿) 영산전(靈山殿)은 대웅전 동편 뒤 담장으로 둘러싸인 별채이다. 일명 나한전(羅漢殿) 또는 응진전(應眞殿)이라고도 한다. 법당 안에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의 모습을 재현하여 석조 석가삼존불을 중심으로 십육나한상이 좌우로 앉아 있다. 영산(靈山)은 고대..
구룡사 응진전(龜龍寺 應眞殿)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本尊)으로 모시면서도 그 제자(弟子)들에 대한 신앙세계(信仰世界)를 함께 묘사한 사찰(寺刹)의 당우(堂宇)를 말한다. 나한 중에서도 16나한을 모시는 건물로 나한신앙을 배경으로 조성된 것이다. 대개 응진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를 ..
직지사 응진전(直指寺 應眞殿) 응진전(應眞殿)은 고려 태조 14년(931) 능여대사(能如大師)가 창건 하였으나, 임진왜란에 전소되었던 것을 효종 7년(1656) 관음전으로 중건 하였다가 뒤에 응진전으로 개액 하였다. 이건물은 그 후 주지 녹원화상(綠園和尙)에 의하여 중수 되었는데, 이때는 기..
마곡사(麻谷寺) 응진전(應眞殿),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5호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 응진전(應眞殿)은 부처님을 중심으로 부처님의 제자인 16나한을 모시고 있다. 부처님에게는 16명의 뛰어난 제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