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용궁리 백송(禮山 龍宮里 白松) - 천연기념물 제106호 이 백송은 김정희가 25세 때에 청나라 연경을 다녀오면서 가져온 씨앗을 고조부 김흥경의 묘소 앞에 심은 것으로 전한다. 원래 밑에서부터 세 가지로 자란 아름다운 모양이었으나 두 가지는 말라죽었고 한 가지만이 남아 있다. 백..
창경궁의 "백송(Pinus bungeana)"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 백송(白松)은 중국의 희귀수종이었는데, 종자이식이 어려워 우리나라에 그리 많지 않은 나무다. 생장이 느린 백송은 10년을 자라도 지름이 손가락 굵기 정도에 그친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번식이 어려워 대부..
백골송(白骨松)이라 부르는 '백송(Pinus bungeana)'-국립극장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 백송(白松)은 중국의 희귀수종이었는데, 종자이식이 어려워 우리나라에 그리 많지 않은 나무다. 생장이 느린 백송은 10년을 자라도 지름이 손가락 굵기 정도에 그친다고 하는데, 그래..
평창 성필립보(Saint Philippus) 생태마을의 백송(Pinus bungeana) 소나무과(―科 Pinaceae)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 백송(白松)은 중국의 희귀수종이었는데, 종자이식이 어려워 우리나라에 그리 많지 않은 나무다. 생장이 느린 백송은 10년을 자라도 지름이 손가락 굵기 정도에 그친다고 하는데, 그..
조계사(曹溪寺) 백송(白松) 대한불교조계종의 직할교구의 본사(本寺)이자 총본사로 중앙총무원· 중앙종회(中央宗會) 등이 있는 한국 불교의 중심지 조계사(曹溪寺)를 상징하는 소나무가 백송이 있다. 조계사에 들어서면 마주 대하는 백송은 수령은 약 500년 이상 추정되며 높이 14m, 둘레 1..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