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정사 만세루(鳳停寺 萬歲樓)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天燈山, 575.5m)은 원래 대망산(大望山)이라 불렀는데 능..
봉정사 삼층석탑(鳳停寺 三層石塔)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봉정사 삼층석탑(鳳停寺 三層石塔)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봉정사 극락전의 정면에 있는 고려시대 중엽에 조성된 탑으로 이중 기단의 방형 석탑으로서 기단부에 비해 탑신부의 폭이 좁으며 각층 높이의 체감이 적..
안정사 석조여래좌상(安定寺 石造如來坐像)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호 안정사 석조여래좌상(安定寺 石造如來坐像)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호 이 불상은 안동군 월곡면 미질리에서 발굴된 것으로 그 곳에 있던 안정사에 보관되어 있었다. 본래는 연화좌대(蓮花坐臺)에 안치된 석불..
시사단(試士壇) 도산서원(陶山書院) 앞 낙동강(洛東江) 건너편 비각(碑閣)은 조선시대(朝鮮時代) 지방별과(地方別科)를 보았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정조대왕(正祖大王)께서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의 유덕(遺德)을 추모하여 정조 16년(1792년)에 관원(官員) 이만수(李晩秀)..
불영사 삼층석탑(佛影寺 三層石塔) 이 탑은 불영사의 대웅보전 앞에 위치하였으며, 재질은 화강암으로 2층 기단(基壇)을 구비한 평면방형의 일반형 삼층석탑으로 높이는 3.21m이다. 기단부는 상하 2층의 기단으로 되어 있는데, 지대석은 새로 만들었다. 하층기단 면석은 4매의 판석으로 조..
포항 보경사 대웅전(浦項 寶鏡寺 大雄殿) 보경사 대웅전은 조선후기 목조불전(木造佛殿)으로 정면3칸,측면2칸인 다포계(多包系)팔작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위에 자연방형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운다음 기둥 윗몸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둘렀다. 평방 위에는 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