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사(龜龍寺) 삼성각(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등의 전..
구룡사(龜龍寺) 사천왕문(四天王門)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치악산 구룡사(龜龍寺)의 사천왕상으로 다른 이름으로 사대천왕(四大天王), 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한다. 욕계육천(欲界六天)의 최하위를 차지한다. 수미산 정상의 중앙부에 있는 제석천(帝釋天)을 섬기며, 불법(佛法)..
치악산 구룡사(稚岳山 龜龍寺) 치악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구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로, 구룡사는 창건 이후 도선(道詵)·무학(無學)·휴정(休靜) 등의 고승들이 머물면서 영서지방 수찰(首刹)의 지위를 지켜왔다. 문무왕 8년(668) 의상대사(義湘大..
치악산 구룡사 지장전(稚岳山 龜龍寺 地藏殿) 저승세계를 상징하는 사찰의 건물로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신다.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원력의 보살이며 미륵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기 전까지 석가모니 부처님의 원을 이어 고통과 어려움에 처해있는 중생들을 구해주고 특히 병든 이를 위하..
구룡사 범종각(龜龍寺 梵鐘閣) 범종각(梵鐘閣)에는 절에서 사용하는 4가지 중요한 불구인 사물(四物) 즉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漁), 운판(雲板)을 보관하고 있는 공간으로 보통 네 가지를 함께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사찰에서는 범종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범종각(梵鐘..
원주 구룡사(原州 龜龍寺)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치악산 구룡사 입구에 있는 은행나무는 수령 약 200여년에 높이 19m로, 1억 5천만년 전 공룡이 살던 시대부터 있었던 나무이기 때문에 화석(化石)나무라고 한다. (고유번호 강원-원주-38, 1982년 11월 13일 지정) =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구룡사로 ..
구룡사(龜龍寺) 서상원(瑞像院) 구룡사(龜龍寺)의 요사채로 쓰이는 서상원(瑞像院). 요사채는 사찰내네 전각이나 산문외에 스님들이 머무는 생활공간이다. 서상원(瑞像院) 편액(扁額)은 초정(艸丁) 권창륜(權昌倫)의 글씨이다.
구룡사 응진전(龜龍寺 應眞殿)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本尊)으로 모시면서도 그 제자(弟子)들에 대한 신앙세계(信仰世界)를 함께 묘사한 사찰(寺刹)의 당우(堂宇)를 말한다. 나한 중에서도 16나한을 모시는 건물로 나한신앙을 배경으로 조성된 것이다. 대개 응진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