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반야사 삼층석탑(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 보물 제1371호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 보물 제1371호 이탑은 전형적인 신라 말과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단층 기단형 삼층석탑으로 신라 문성왕(文聖王) 8년 반야사 창건(846년) 당시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지대석(地臺..
국행수륙도량(國行水陸道場) 두타산 삼화사(頭陀山 三和寺) ‘동해안 제일의 산수’라 할 정도로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백미를 보여주는 명승 제37호 동해 무릉계곡 내에 위치한 천년고찰 삼화사는 1977년 원절터가 쌍용양회 채광권에 편입되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삼화사는 10여개..
첨찰산 쌍계사(尖察山 雙溪寺) 쌍계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의 말사이다. 857년(신라 문성왕 19)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절 양옆으로 시냇물이 흘러서 쌍계사라 불렀다고 하며, 1648년(조선 인조 26) 의웅(義雄)이 중건하였다. 1677년(숙종 23) 대웅전을 세웠으며, 1695년에는 ..
천년고찰(千年古刹) 칠갑산 장곡사(七甲山 長谷寺) 하 대웅전(下 大雄殿) - 보물 제181호 하대웅전은 조선 중기에 건립되었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대체로 소규모의 맞배식 건물에는 주심포 양식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 건물은 특이하게 다..
용주사(龍珠寺) 범종(梵鐘) - 국보 제120호 범종각 주련 聞鐘聲煩惱斷(문종성번뇌단) 종소리를 듣고 번뇌를 끊으며 智慧長菩提生(지혜장보리생) 지혜가 증장하고 보리심이 생긴다. 용주사(龍珠寺) 범종(梵鐘) - 국보 제120호 이 종은 통일신라 (統一新羅) 말기(末期 ) 범종( 梵鐘 )으로서 우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