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망성지(別望城址) - 경기도기념물 제73호 별망성복원기원초석(別望城復元祈願礎石) 경기도 기념물 제73호 별망성지 표석 별망성지(別望城址) - 경기도기념물 제73호 이 성은 여곶(汝串) 또는 초지영(草芝營)이라고도 하였으며, 바다에 근접해 있는 야산의 능선을 연결하고 남쪽으로 해안..
제주 구엄돌염전마을의 설촌 역사를 보면 삼별초(三別抄)가 애월읍 고성리 항파두리에 주둔할 당시토성을 쌓으면서 주민들을 동원하였다는 문헌에 의하여 고려(高麗) 원종(元宗) 12년에 설촌된 것으로 추정된다.당시 마을 이름은 엄장포(嚴莊浦) 또는 엄장이(嚴莊伊)라고 하였다.조선(朝..
명월성지(明月城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 일대에 있는 성터로 명월진성은 둘레가 3천 20척, 높이가 8척이었으며, 동쪽과 남쪽 및 서쪽에 각각 성문이 있었다. 성안에는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었고, 건물로는 객사· 별창· 군기고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하나도 ..
구시물(溝澌泉, 구시천) - 물이 나는 곳 “구시”란 나무나 돌로 수로를 파서 만든 것을 뜻하는데 이 물은 삼별초 항쟁당시 옹성물과 더불어 삼별초 군의 식수로 이용하였고, 토성 밖인데도 또 작은 성을 쌓아 나무로 구시를 만들어 병사나 사녀의 이용수로 관리하였다고 한다. 1928년에..
다시 일어나게(興) 신령님(靈)께 기원했다는 "영흥도(靈興島)" 고려가 망하자 고려왕족의 후예인 왕씨가 영흥도에 피신 정착하여 살고 있는 동안 영흥도에서 제일 높은 산인 국사봉에서 한양을 향하여 고려국이 다시 흥할것을 신령께 기원한 곳이라하여 영흥도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