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신 장군(金庾信, 595~673) 본관은 김해(金海), 아버지는 소판(蘇判)·대량주도독(大梁州都督)을 역임한 서현(舒玄), 어머니는 숙흘종(肅訖宗:葛文王 立宗의 아들)의 딸 만명(萬明). 본래 가야국의 시조 김수로왕(金首露王)의 12대손이다. 증조부는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해왕(仇亥王:仇衡王이라고..
남산 봉수대 (南山 烽燧臺) 봉수(烽燧)는 평균 30리의 거리를 두고 적당한 산 정상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烽)을 들고 낮에는 연기(燧)를 피워서 신호하는 전근대적 통신수단이었다. 봉수제도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행되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본격적인 국가제도로 확립된 것..
임금님의 생활공간인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함녕전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임금님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