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서양식 공원, 자유공원(自由公園) 응봉산(鷹峰山) 남쪽에 자리잡은 이 공원은 미국, 영국. 독일 등 각국 사람들이 설정한 각국 조계(各國 租界) 안에 있었기 때문에 각국공원으로 불리다가 점차 '여러 나라 '라는 뜻의 만국공원(萬國公園)으로 통칭되었다. 1888년 러시아 측량 기..
자유공원 큰나무(낙엽송) - 인천광역시 보호수 1-2 자유공원 큰나무(낙엽송) - 인천광역시 보호수 1-2 인천 자유공원 100주년 기념탑 주변에는 낙엽송(일본잎갈나무) 4주가 6.25사변의 폭격을 견뎌내고 살아남아 자유공원을 수호신처럼 지키고 있다. 이 나무가 서 있는 자리는 1905년 준공된 존..
시장공관에서 역사자료관으로~~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仁川廣域市 歷史資料館)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1가 2-2번지 응봉산(鷹峰山) 기슭에 위치한 역사자료관(歷史資料館)은 1888년에 조성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과 1901년에 건립된 제물포구락부(옛 인천시립박물관, 현 중구문화원)와 ..
구 제물포구락부(舊 濟物浦俱樂部)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1891년 청국(淸國)과 일본을 비롯하여 인천에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사교클럽으로 조직되었다. 처음에는 중구 관동 1가의 목조 단층건물에서 출발했다가, 1901년 지금의 자유공원 기슭에 지상 2층의 벽돌조 건물을 지어 옮..
한국 최초의 서양식 공원, 인천 자유공원(仁川 自由公園) 인천의 자유공원은 응봉산 일대에 조성되었다. 응봉산은 인천이 개항되기 전까지만 해도 해발 69m의 야트막한 야산으로 공원이 만들어진 것은 개항후 이 일대에 외국인들이 조계를 설정한 이후 부터이다. 1883년 청국과 일본이 선린..
청·일조계지경계계단(淸·日租界地境界階段) 이 지역은 1883년 일본 조계(租界)를 시작으로 1884년 청국 조계(租界)가 설정되는 경계지역으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으로 연결되어 계단과 조경이 마련된 공간이다. 약 130년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조계지 경계계단은 중앙에 석조 ..
한미수교 100주년기념탑 한미수호통상조약(韓美修好通商條約)은 1882년 5월 22일(고종19년 임오년 4월 초6일) 대조선국 전권대관(全權大官) 신헌(申櫶)과 대미국 전권대신(全權大臣) 로버트 윌슨 슈펠트와의 사이에 제물포 화도진 언덕에서 조인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그로부터 전개되는 모..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