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송지대(老松地帶) - 경기도 기념물 제19호 노송지대는 지지대비(遲遲臺碑)가 있는 지지대고개 정상에서부터 옛 경수간(京水間) 국도를 따라 노송이 생장하는 약 5km의 지대이다. 조선 정조(正祖, 1776~1800년 재위)가 생부(生父)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원침(園寢)인 현륭원(顯隆園, 지금의 ..
정조대왕 화산릉행차(제53회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 화산릉행차(제53회 수원화성문화제) 2016년은 수원화성 축성 220주년을 기념해 역대 최대규모로 정조대왕 능행차가 재현됐다. 제53회 수원화성문화제의 하이라이트인 정조대왕 화산릉행차로 정조는 아버지인 사도세자 무덤을 융건릉..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서울특별시 창덕궁-배다리 구간)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수원시가 을묘년(1795년) 정조대왕 능행차를 221년만에 완벽 재현했다. 정조대왕 능행차는 조선 22대 정조가 아버지 장헌세자(思悼世子,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을 참배했던 을묘원행(乙卯園..
노송지대(老松地帶) - 경기도기념물 제19호 노송지대(老松地帶)는 지지대비(遲遲臺碑)가 위치한 지지대고개 정상으로부터 옛 경수간(京水間) 국도를 따라 구 도로변에 노송이 생장하는 5km구간이다. 조선 제22대 왕(王)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생부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원침(園寢)인 ..
융,건릉(隆.健陵)과 역사문화관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 장조)와 어머니 혜경궁홍씨(현경의황후)를 모신 융릉, 그리고 정조와 그의 비 효의황후를 모신 건릉이 있다. 처음에는 정조가 당시 양주에 있던 아버지 묘(영우원)를 이곳으로 옮기고 현륭원이라 하였으..
장조(莊祖)의 능 “융릉(隆陵)”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융릉(隆陵)은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산1-1에 있으며, 근처에 있는 정조(正祖)의 건릉(健陵)과 함께 동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장헌세자(莊獻世子)는 1762년 28세 때 창경궁에서 죽었으며 영조가 사도(思悼)라는 시호(諡號..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