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서양식 공원, 자유공원(自由公園) 응봉산(鷹峰山) 남쪽에 자리잡은 이 공원은 미국, 영국. 독일 등 각국 사람들이 설정한 각국 조계(各國 租界) 안에 있었기 때문에 각국공원으로 불리다가 점차 '여러 나라 '라는 뜻의 만국공원(萬國公園)으로 통칭되었다. 1888년 러시아 측량 기..
구 제물포구락부(舊 濟物浦俱樂部)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1891년 청국(淸國)과 일본을 비롯하여 인천에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사교클럽으로 조직되었다. 처음에는 중구 관동 1가의 목조 단층건물에서 출발했다가, 1901년 지금의 자유공원 기슭에 지상 2층의 벽돌조 건물을 지어 옮..
각국조계석(各國租界石) 각국조계석(各國租界石)은 조선시대의 지방행정권을 외국인에게 위임한 외국인전용 주거지역의 경계를 표시해 놓은 일종의 푯말이다. 조계란 영토의 일정한 범위를 한정하여 외국인의 거주를 허가한 지역으로 거류지라고도 부른다. 인천에는 1883년 일본전관조..
한국 최초의 서양식 공원, 인천 자유공원(仁川 自由公園) 인천의 자유공원은 응봉산 일대에 조성되었다. 응봉산은 인천이 개항되기 전까지만 해도 해발 69m의 야트막한 야산으로 공원이 만들어진 것은 개항후 이 일대에 외국인들이 조계를 설정한 이후 부터이다. 1883년 청국과 일본이 선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