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사(淸溪寺)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호 청계사의 정확한 창건 연도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봉은사의 사적을 기록한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는 신라 때 창건되었다는 내용이 있으나 구체적 근거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사찰 경내에 있는 석등과 부도 일부는 신라 때 ..
옛 부처의 도량, "우담바라 핀 청계사(淸溪寺)" 삼 천년만에 한번 울어 피어나는 꽃이로다. 아니 아니 해마다 내 눈으로 네 눈으로 피어나는 꽃이로다. 어찌 옛 인도 우담바라만 이리오.. 우리 들의 밀물 보다 너울지는 꽃이로다. - 고은 - 청계사불사연기문(淸溪寺佛事緣起文) 법계제법(法..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義王 淸溪寺 事蹟記碑) 의왕 청계사 사적기비(義王 淸溪寺 事蹟記碑) 이 비석은 1689년(숙종 15)에 제작된 청계사의 연혁을 기록한 것으로 1689년 청계사 입구에 세워졌다. 이 비는 화강암으로 비신을 만들었고 그 위에 팔작지붕의 머릿돌을 얹은 양식을 취하고 있다. ..
의왕 청계사 조정숙공 사당기비(義王 淸溪寺 趙貞肅公祠堂記碑) 조정숙공 사당기비(趙貞肅公祠堂記碑) 이 비는 고려시대 1341년(충혜왕 2년)에 건립된 것으로 청계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사당을 만들게 된 과정을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지은 글을 사당기(祠堂記)라고 하며, 이를 비석에 ..
청계산 청계사(淸溪山 淸溪寺)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에 있는 전통사찰인 청계사는 청계산 남쪽 태봉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의 말사로, 경기도문화재자료 제6호로 지정되었다. 《봉은본말지》에 통일신라 때 창건되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284년(고려 충렬왕 10) 평양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