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컨벤션센터 조형물 미래로(To the Future) 박옥순, 2003년작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경기대학교 =
닻 (대우조선해양빌딩) 닻은 바다 위에서 배를 정박할 때 배가 조류나 바람 등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 시켜주는 계류장치이며 32만톤급 초대형 원유 운반선에 사용된다.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조선강국으로 성장한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위상이 대우조선해양이라는 튼튼한 닻에 의해 ..
청계천 축제 참여작품, 환생(還生,Rebirth) ‘환생(還生,Rebirth)’은 신라 선덕여왕 재위 기간(632∼647년)인 633년에 만들어진 국보 제31호 첨성대의 부활이다. 2006년 10월 청계천 복원 1주년을 기념하는 환경조형물로 만들어져 광통교에 전시됐다가 그 해 말에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앞에 옮겨졌..
‘카페 드 마린(cafe de marine)’앞 열린공간 서울 중구 남대문로 125 (다동) ‘카페 드 마린(cafe de marine)’ 대우해양조선과 잘 어울리는 ‘카페 드 마린(cafe de marine)’앞에는 야외 테라스를 조성하고 백설공주와 일곱난장이, 형형색색의 바람개비 모형, 버섯 모양의 조형물을 설치하여 모두가 ..
박달이와 금봉이의 슬픈 애환이 서린 박달재 이야기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과 백운면을 갈라놓은 험한산이 '박달재'라한다. 조선조 중엽 경상도의 젊은 선비 박달(朴達)은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던 도중 백운면 평동리에 이르렀다. 마침 해가 저물어 박달은 어떤 농가에 찾아 들..
진한 감동의 스토리, 형제의 상(兄弟의 像) The Statue of Brothers 6.25전쟁을 상징하는 '형제의 상' 조형물은 6.25전쟁 당시 한국군과 북한군의 형제가 원주 치악고개 전투에서 극적으로 만난 순간을 재현한 것이다. 총을 어깨에 메고 철모를 쓴 장교는 형(兄)으로서 한국군 제8사단 제16연대의 박..
6ㆍ25전쟁 조형물(KOREAN WAR MONUMENTS) 6ㆍ25전쟁 휴전 50주년을 맞이하여 "6ㆍ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단"에서 기획 설치한 조형물로 이 조형물은 유구한 역사와 민족의 번성을 상징하는 "청동검과 생명수 나무", 국군, 참전외국군, 국민방위군, 유격대, 학도병, 피난민 등을 묘사한 "원호형 조각군..
서울을 그리다(Seoul sketch) 임옥상, 2012년, 무쇠주물(Cast iron)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와 덕수궁 돌담길 사이에서 시민들과의 대화를 이끌어 내는 서사적 벽면 조형물이다. 작가는 한쪽면에 서울 시민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그려내고 다른 면에는 서울을 둘러싼 산세 풍경과, 그것을 동반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