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박물관(Railroad Museum,鐵道博物館) 1981년 문을 연 철도고등학교 실습장 내 철도기념관을 모태로 1988년 경기도 의왕시 부곡에 부곡관이, 1997년 4월 서울역에 서울역관이 각각 개관해 현재에 이른다. 서울역관이 제1관, 부곡관이 제2관이며, 대규모 운송수단이자 국민의 생활수단인 철도의 ..
철도가 좋은 100가지 이유 1.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기차는 달린다. (바람이 불면 배는 출항을 못하고, 눈이나 비가 오면 비행기는 뜰 수 없고, 자가용이나 버스는 두말할 필요 없음) 2. 기차는 길이 아니면 가지 않는다. 3. 기차는 나를 신용 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 (왜? 언..
철도박물관 야외전시장(鐵道博物館 野外展示場) 우리나라 다양한 철도 역사를 직접 볼 수 있는 철도박물관 야외전시장. 이곳에는 대통령전용 특별동차를 비롯하여 증기기관차, 디젤기관차, 객차, 화차, 협궤 증기기관차, 전동차 등이 전시돼 있다. =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42 (월암..
철도기점(鐵道起點)-철도박물관 이 철도기점 표지석은 1972년 2월 15일 서울역에서 건립한 것을 옮긴 것으로, 철도기점은 한국철도거리의 기준점을 가리키며, 서울역 철도기준점부터 계산하여 부산역까지 444.5km, 목포역까지 427.3km, 대전역까지 166.9km, 인천역까지 38.9km, 강릉역까지 377.4km, 평..
협궤 증기기관차 13호(挾軌 蒸氣機關車 13號)-등록문화재 제418호 이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는 1937년 일본에서 제작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수원운전사무소에서 조립한 텐더식 증기기관차로 레일 사이 간격이 표준궤간(標準軌間, 1,435mm)보다 좁은 협궤궤간(挾軌軌間, 762mm)에서 운행되었다..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등록문화재 제417호 이 증기기관차는 1942년 일본에서 제작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한 텐더식 증기기관차로, 전국 철도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되었으며 청량리~부산 간 특급 여객 열차용으로 운행되었다. 1967년 8월 디젤기관차의 등장으로 운행이 ..
협궤유개화차(挾軌有蓋貨車)-등록문화재 제422호 이 화차(貨車)는 철도 화물을 수송하기 위하여 1955년 미국에서 제작한 협궤노선용(挾軌路線用, 762mm) 화물열차로 표준궤간(標準軌間, 1,435mm)보다 좁은 협궤노선인 수인선(水仁線, 수원~인천 송도), 수여선(水驪線, 수원~여주)에서 농산물 등 ..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협궤무개화차(挾軌無蓋貨車)” 이 화차(貨車)는 철도 화물을 수송하기 위하여 1955년 미국에서 제작한 협궤노선용(挾軌路線用, 762mm) 화물열차로 표준궤간(標準軌間, 1,435mm)보다 좁은 협궤노선인 수인선(水仁線, 수원~인천 송도), 수여선(水驪線, 수원~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