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화사(桐華寺) 칠성각(七星閣) 동화사 칠성각(桐華寺 七星閣)은 우리나라 사찰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전각이다. 칠성은 수명장수(壽命長壽)를 상징하는 신으로 가람(伽藍) 수호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칠성(七星)’이란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일컫는 것으로, 사찰에 칠성을 모시게 ..
구룡사(龜龍寺) 삼성각(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등의 전..
동화사 산신각(桐華寺 山神閣) 동화사 산신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세워져 토착신앙인 산신을 모시는 전각으로 2007년 7월 산신각 내부에는 후불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불교사찰에 있는 산신각(山神閣)은 고유 신앙의 수용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민간의 신앙이 두터운 칠성(七星)..
북두칠성(北斗七星)을 가리키는 “용주사 시방칠등각(龍珠寺 十方七燈閣)” 용주사의 대웅보전과 천불전 사이에 위치하는 전각으로 칠성, 산신, 독성이 탱화로 봉안되어 있다. 이 세 신앙은 불교를 신앙하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불 수 없는 독특한 한국적 불교신앙으로 우리는 삼국시대..
전등사 삼성각(傳燈寺 三聖閣) 삼성각은 산신, 독성(나반존자), 칠성 등 삼성(三聖)을 모신 건물이다. 본래 삼성은 중국의 도가 사상과 관련이 있는 성인들이지만 이 땅에 불교가 전래하면서 불교 사상과 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山神閣), 독성각(..
봉은사 북극보전(奉恩寺 北極寶殿)과 봉은사 칠성도(奉恩寺 七星圖) 북극보전은 1942년 중건되었으며 산신(山神), 칠성(七星) ,독성(獨聖, 나반존자) 등이 모셔져 있어 흔히 삼성각(三聖閣)이라 부르며 칠성각(七星閣)이라고도 불린다. 북극보전은 민간신앙과 불교가 자연스럽게 접목되었음..
금산사 삼성각(金山寺 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山神閣), 독성각(獨聖閣), ..
금강산 건봉사 산신각(金剛山 乾鳳寺 山神閣) 불교사찰에 있는 산신각(山神閣)은 고유 신앙의 수용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민간의 신앙이 두터운 칠성(七星)도 같이 모셔졌다. 그 명칭은 산신각(山神閣)·칠성각(七星閣)·삼성각(三聖閣) 등 일정하지 않다. 현재 불교에서는 산신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