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강 장남교 (臨津江 長南橋) 문산에서 임진강을 따라 올라가다 민간인이 건너갈 수 있는 첫번째 다리인 장남교.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坡州市 積城面 斗只里)와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漣川郡 長南面 元堂里) 경계에 있는 장남교. 북에서 흘러드는 임진강이 통일의 소식을 갖고 이 곳을 찾아오길 기대해 봅니다.
자유의 다리 (임진각)에서... 자유의 다리는 문산읍 마정리 임진각 광장 앞 망배단 뒷편에 놓인 다리로 1 953년에 한국전쟁 포로 12,773 명이 자유를 찾아 귀환하였기 때문에 명명된 다리이다. 원래 경의선 철교는 상하행 2개의 교량이 있었으나 폭격으로 파괴되어 교각만 남아 있었는데 전쟁 ..
철마는 달리고 싶다.....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에는 6.25와 남북 분단과 관련한 조형물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다. 그 가운데 철도중단점에 위치한 증기기관차. '미카3 - 244'라는 열차번호가 선명히 증기기관차 정면에 새겨져 있다. 지금은 식당 용도로 쓰여지고 있다. 이 열차는 부산에서 신의주까지, 목포..
임진각 관광지(臨津閣 觀光地) 민간인의 출입이 허용되는 휴전선에서 약 7km 떨어진 곳에 임진각이 있다. 3층 전망대에서 북쪽을 보면 '자유의 다리'와 북한쪽 산을 바라볼 수 있다. 광장에는 안보홍보관과 임진강 지구 전적비, 미군 참전비, 6.25 전쟁 당시 사용된 장갑차, 전차, 비행기 등이..
어른의 높고 맑은 뜻을 본받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앙지대 (仰止臺)"...경기 파주 반구정에서 남쪽으로 바로 이어진 등성이 위쪽에는 또 하나의 정자가 멋드러지게 서 있는데, 그 곳까지 층계가 나 있다. 정자의 크기는 반구정보다 작고 6각형인데, 이름하여 앙지대(仰止臺)이다. 이 정자는..
미국군 참전기념비(美國軍 參戰記念碑)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494-1에 위치한 미국군 참전기념비는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불법남침시 미국은 유엔의 한국전 참전을 결정하고 최초로 참전(1950. 7. 5)한 국가이다. 미국은 파병국가 중 가장 많은 병력을 각종 전투에 참전시켰고 또한 ..
망향의 노래비와 망향비 파주 임진각 망배단 옆에는사단법인 한국연예협회에서 만든 "망향의 노래비"가 있다. '잃어버린 삼십년'의 노래비는 실향민의 가슴을 더욱 아프게 한다. 잃어버린 삼십년 (작사:박건호, 작곡:남국인, 노래:설운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그리웠던 삼십..
8.18 도끼만행 현장, 판문점(板門店) 1976년 8월18일 오전 10시경 미군 장교 2명과 사병 4명, 한국군 장교 1명과 사병 4명 등 11명이 "돌아오지 않는 다리" 남쪽 국제연합(UN)군측 제3초소 부근에서 시야를 가리는 미루나무의 가지를 치는 한국인 노무자 5명의 작업을 지휘 경호하고 있었다. 이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