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태고종 동고사(韓國佛敎 太古宗 東固寺) 신라 헌강왕 2년(876)에 도선(道詵) 스님이 창건했으며, 전주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하여 동고사라 칭했다 한다. 935년 10월 신라 경순왕(敬順王) 김부(金傅)가 고려 태조에게 항복하려 하자, 둘째 아들 덕지(德摯) 왕자가 불가함을 극력 간(..
한국불교태고종 봉원사(韓國佛敎太古宗 奉元寺) 한국불교태고종의 본산이다. 889년(진성여왕 3)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부유한 신도의 집을 희사받아 절을 창건하고 반야사(般若寺)라 하였다. 그 뒤 고려 공민왕 때에 보우(普愚)의 중건으로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1396년(태조 5)에는 ..
관음도량 일출봉 동암사 (觀音道場 日出峰 東岩寺) 관음도량 일출봉 동암사 (觀音道場 日出峰 東岩寺) 동암사는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 기슭에 위치한 사찰로 1937년에 창건하여 당시 사찰명은 일광사였다. 이 사찰의 사명은 일광사로 시작해서 일출사· 동화사· 경봉사 등 수차례 ..
산방산 산방사(山房山 山房寺) 산방사(山房寺)는 서귀포시 안덕면 산방굴사 초입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사찰이다. 이 절은 산방굴사에서 수행하던 유정호(柳貞鎬) 보살에 의해 1928년 4월에 창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법정사 무장항일운동을 주도한 방동화(房東華)스님이 주석하였다. ..
산방산(山房山) 산방사(山房寺) 대웅전(大雄殿) 산방산(山房山) 산방사(山房寺)는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 사찰로, 1926년 4월에 산방굴사(산방산 해발 약 200m지점에 있는 천연석굴)에서 수행하던 유정호가 1926년 4월에 창건하였다. 산방굴사에서 수도하다 입적한 고려시대 승려 혜..
호암산 불영암(虎巖山 佛影庵)과 한우물(天井,천정) 호암산(虎巖山,해발 325m)은 호랑이 형상의 바위산이다. 정상부를 밑에서 보면 호랑이 등을 닮았다. 그래서 무학대사는 산 허리에 호압사(虎壓寺)를 세우고 그 기운을 누르게 했다는 산이다. 호암산에는 호암산성이 있고 호암산성에는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