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천의(渾天儀) 혼천의는 세종 15년(1433년)에 만든 해와 달, 별과 오행성(五行星,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를 측정하는 천체 관측기기이다. 이것은 현종 10년(1669)에 송이영(宋以潁, 생몰년 미상)이 만든 ‘혼천의 및 혼천시계’ 중 혼천의 부분을 2.5배 정도 확대하여 1999년 12월 복원했다.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왕대리) 영릉 세종대왕 유적지구
한국은행에서 알려드리는 올바른 화폐 사용법 한국은행에서 알려드리는 올바른 화폐 사용법 위조방지장치 확인,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비추어 보고, 기울여 보고, 만져 보세요. 만원권 위조방지장치 1 홀로그램 은행권을 기울여 보면 각도에 따라 ① 우리나라 지도 ② 태극과 ‘10000’ ③ ..
혼천의(渾天儀) 혼천의(渾天儀)는 해와 달, 5행성(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의 위치를 관측하고, 시간과 절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천문기기다. 혼천의는 혼의(渾儀) 또는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혼천의를 제작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 15년(1433년)이다. 혼천의는 고대..
조선왕조의 기반을 굳건히 다진 임금, '세종대왕(世宗大王)' 조선 제4대 왕(재위 1418~1450)으로 휘(諱) 도(祹). 자 원정(元正). 시호 장헌(莊憲). 태종의 셋째 아들로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 소생. 비(妃)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 1408년(태종 8) ..
천체와 시간과 절기를 측정하는 '혼천의(渾天儀)' 혼천의(渾天儀)는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천문기기이며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또 시간과 절기를 측정할 수 있다. 혼천의는 혼의 또는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혼천의를 제작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 15..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