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창의사상(李奉昌義士像) 이봉창 의사(李奉昌 義士, 1900~1932) 이봉창의사는 1900년 8월 10일 서울 용산구 원효로 2가에서 효녕대군(孝寧大君) 후손인 부친 이진규(李鎭奎)씨와 모친 밀양 손씨(密陽孫氏) 사이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인이 경영하는 제과점 종업원으로 취직했으나 주인으..
원효대사 동상(元曉大師 銅像) -서울 효창공원 원효대사(元曉大師, 617∼686) 신라시대의 고승. 성은 설(薛)씨. 원효는 법명,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 압량(押梁 : 지금의 慶山郡) 불지촌(佛地村) 출신. 잉피공(仍皮公)의 손자이며 내마(奈麻) 담날(談捺)의 아들이다. 648년(진덕왕 2) ..
효창공원 상징조형물, 점지(點指) 효창공원 상징조형물, 점지(點指) 선열의 묘역이 모셔져 있는 효창근린공원의 환경적 분위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성역의 현대적인 해석이 가능하도록 계획한 조형물이다. 구체적이며 실질적이기 보다는 개념적이면 추상적인 형상으로 단순하면서 기..
애국선열의 영정을 모신 사당, 효창공원(孝昌公園) 의열사(義烈祠) 애국선열의 영정을 모신 사당, 효창공원(孝昌公園) 의열사(義烈祠) 의열사(義烈祠)는 애국선열(愛國先烈)들의 영정(影幀)을 모신 사당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요인(要人) 이동녕(李東寧, 1869~1940, 임정 ..
삼의사의 묘(三義士의 墓) -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삼의사(三義士)의 묘(墓) 이곳은 조국 광복을 위해 몸 바친 이봉창(李奉昌), 윤봉길(尹奉吉), 백정기(白貞基) 의사를 모신 묘역(墓域)이다. 1946년 김구(金九) 선생의 주선으로 본환(奉還)하고 안장(安葬)하였다. 삼의사 묘 왼편에는 1910년 3..
백범 김구 선생의 자동차 백범 김구 선생의 자동차 백범 김구 선생께서 고국에 돌아오신 후 타시던 차로, 차량번호 서울2331은 성함의 구(九)자를 숫자 네 개로 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48년 4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연석회의 때도 선생과 함께 하였으며, 이듬해 국민장에서 선생이 마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