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루각 자격루 (報漏閣 自擊漏)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4. 1. 6. 04:30

    보루각 자격루 (報漏閣 自擊漏)

     

    보루각(報漏閣) 자격루(自擊漏)는 536년(중종 31) 제작되었으며,

    대파수호() 1개· 소파수호 2개· 수수호() 2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청동제 대파수호는 지름 93.5㎝, 높이 70㎝이고,

    도자기로 만든 소파수호 2개는 최대 지름 46㎝, 높이 40.5㎝이며,

    청동제 수수호(통) 2개는 바깥지름 37㎝, 높이 196㎝이다.

     

    이것은 자격장치()가 제거된 현존하는 자격루의 누기()로,

    이들 누기의 배치는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계단식으로 배치하여 대파수호가 가장 높은 곳에 있고,

    소파수호 2개가 나란히 중간 높이에 있으며, 맨아래에 물을 받는 수수호 2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약 2.5㎝의 지름을 가진 파이프가 이들 물통들에 연결되어, 위에서 아래로 물이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표준시계는 경루(:1398년) ·누각(:1424)으로 이어지고,

    1434년(세종 16) 장영실()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자격루를 사용하여 오다가,

    성종 때에 이르러 이 물시계의 자격장치에 의한 시보()와 시간이 서로 맞지 않아,

    1534년(중종 29) 새 자격루의 제작에 착수, 1536년에 완성하여

    이를 창덕궁(昌德宮) 세운 보루각에 설치하고 그해 8월부터 표준시계로 사용하였다.

     

    이 두번째 자격루의 구조는 장영실의 그것과 거의 같으나, 점수()를 자격할 뿐만 아니라

    인정()과 파루()도 자격할 수 있게 개량한 것이다.

    이 물시계는 그 후 100여 년을 표준시계로 사용하다가 1653년(효종 4), 이제까지의 1일 100각()으로 된

    수시력()이 폐지되고 1일 96각의 시헌력()이 시행됨에 따라,

    자격장치(자동시보장치) 96각에 맞추어 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써

    이 장치를 제거하고 누기(:)만을 한말까지 그대로 표준시계로 사용하여 왔다.

     

    이 자격장치가 제거된 누기의 메커니즘은 현재의 보존상태로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증보문헌비고() 등에는 그 구조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누호()의 법은 크기가 다른 3개의 파수호로 되어 있고

    2개의 수수호(통)가 있는데, 이는 낮과 밤에 교대로 사용한다.

    또 전(:잣대) 24개가 있는데, 이는 기()에 준하였고, 그 길이는 각각 6자 2치인데,

    수시력에서는 주야를 100각으로 하였으나, 시헌력이 시행됨에 따라 전을 96각으로 나누고,

    각을 15분으로 나누니, 모두 12시에 매시 8각을 얻는다.

    수수호에는 그 안지름과 똑같은 크기의 얇은 동판()으로 만든 부귀()가 있는데,

    부귀의 등이 네모가 나 있어서 거기에 잣대를 끼워 통에 넣으면

    통에 물이 흘러 들어와서 부귀가 뜨고 그러면 잣대가 위로 올라간다.

    보루각(報漏閣) 자격루(自擊漏)는1985년 3월 3일 국보 제229호로 지정되었다.


     

     

     

     

     

     

     

    141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