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충정로 구세군빌딩
    일상생활속에서/사람사는 현장 2014. 3. 14. 04:30

     

    충정로 구세군빌딩

     

     

    구세군 대한본영에서 ‘구세군 한국선교 제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3가에 지상 18층, 지하 8층 규모로 지은 ‘구세군빌딩’

    구세군 선교를 나타내는 돛단배 모습을 형상화한 건축물이다.

     

     

     

     

     

    구세군(救世軍, Salvation Army)

     

    기독교의 한 교파·자선단체.

    1865년 영국 런던에서 실업자와 최하층 빈민을 위한 선교와 구호 기관으로 시작하였으나,

    '하나님의 군대'라는 의미로 군대와 유사한 조직을 갖추면서 이름을 구세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국의 구세군은 190810월 구세군의 창설자인 윌리엄 부스가 한국에 로버트 허가두(Robert Hoggard)

    애니 존스(Anni Johns) 사관 부부를 파송하면서 한국에서의 구세군 활동이 시작되었다.

    활동 초기부터 영혼 구원 뿐 아니라 민중계몽과 사회 구원에 큰 관심을 보였다.

     

    구세군은 150여년의 긴 역사 속에서도 늘 가슴에 품고 살아가는 핵심가치가 있다.

    첫째는 사람들의 영혼을 구원하고 삶을 변화시키는 일, 둘째는 사랑의 마음을 가지고 이웃을 섬기는 것,

    셋째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다음 세대를 길러나가는 것, 네번째는 이런 행동들을 통해 세상을 의롭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구세군이 가장 잘 하는 일은 사람들을 구하는 것이다.

    국내사업으로는 아동·청소년, 노인·장애인, 여성·다문화, 긴급구호, 사회적 소수자, 지역사회복지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고, 해외에서는 해외아동 지원사업과 해외지역사회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매년 성탄절 시즌에 거리에서 운영하는 빨간색 자선냄비 모금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구세군은 전세계 128개 이상의 나라에 전도 센터가 있다.

    국제본부는 영국 런던에 있으며, 사회복지단체·병원·학교·기관 등도 운영한다.

     

     

    구세군의 일반적인 용어와 계급

     

    구세군은 창립당시 강력한 선교조직의 필요에 따라 준군대식으로 조직을 구성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군대식 특징과 용어 등을 사용하는 특색 있는 교회이다.


    1. 일반적인 용어
    영문(營門, Corps) : 구세군은 교회를 영문이라고 한다.

    영문은 군대의 주둔지라는 개념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의 선교, 봉사를 목적으로 한다.
    병사(兵士, Soldier) : 구세군의 일반 교인을 병사라고 한다.
    사관(士官) : 구세군의 목회자를 사관이라고 한다


    2. 사관(Officer)
    사관은 타 교단의 신학교 과정으로 볼 수 있는 구세군사관학교를 나와야 한다.
    구세군 사관학교에 입학조건은 특별한 것은 없으나 기혼자인 경우 부부가 함께 입교하여

    교육을 알아야 하는 특색이 있으며, 교육과정은 성경적이고 복음적이다.
    또한 구세군 정신에 입각한 유능한 사관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만큼 대단히 엄격하고 빈틈없이 짜여져 있다.
    구세군 사관은 군대와 마찬가지로 명령과 조직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며 맡겨진 임무에 따라

    일반 목회를 담당하는 목회사관과 구세군의 시설과 행정을 담당하는 행정사관 등으로 나뉘는데 순환하며 보직을 맡게 된다


    3. 사관의 계급
    구세군 사관은 계급이 있다이는 구세군 조직상 일사분란한 지휘체계를 갖추기 위한 것으로

    하나님의 군대의 효율과 선교 그리고 사회사업을 위해서는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 위관사관(尉官士官)
    부위(副尉) : 사관학교 졸업 후 처음 임관되었을 때의 계급
    정위(正尉) : 임관 후 5년이 지나면 정위로 진급 


    - 영관사관(領官士官)
    참령(參領) : 정위 진급 후 15년이 지나면 참령으로 진급한다.

    사관학교 임관 후 만 20년이 지나야만 달 수 있는 영광스런 계급이다

    참령까지가 일반적인 구세군 사관의 계급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이후부터는 특별한 직책을 부여 받을 때만이 진급할 수 있다.
    부정령(副正領) : 참령 진급 후 특별한 직책이 부여 되었을 때 맡게 된다.
    정령(正領) : 부정령 진급 후 맡게 되는 직책으로 대개 한 군국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야만 부여되는 영광스런 계급이다


    - 장성사관(將星士官)
    부장(副將) : 전세계 구세군의 주요사항들을 결정하는 의결권을 가지며

     대장을 선출하는 투표권을 갖는 등 특별한 권한을 갖게 된다.
    대장(大將) : 명실공히 구세군의 최고 지휘자 한 사람에게만 부여되는 구세군 최고의 계급이다.
     
    4. 일반 병사의 계급
    구세군에서는 일반교인을 병사라고 하며, 성도를 군우라고 호칭하는데

    사관과 마찬가지로 일반병사도 맡겨진 직분에 따라 계급이 있다.

    따라서 구세군의 모든 교인은 하나님의 병사가 되는 영광을 갖는다.


    부교(副校) : 일반교회에 집사에 해당하는 직책
    정교(正校, Sergeant-Major) : 일반교회에 장로에 해당하는 직책
    하사관(下士官, Local Officer) : 부교이상에 직책을 담당하는 모든 교인을 통칭해서 하사관이라 칭한다.
     
    5. 구세군의 입대식
    믿음을 갖고 어느 정도 영문에 출석하게 되면 신앙고백을 하게 되는데 신앙고백 후 받게 되는 것이 입대식이다.

    입대식은 일반교단의 세례와 비슷하다.
    예비병 : 타교단의 학습에 해당하는 것으로 영문 출석 후 최소한 6개월이 지나야만 받을 수 있다.
    병사 : 일반교단의 세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영문 출석 예비병 입대를 한 후 6개월이 지나야만 받을 수 있다.
     
      *교회= 영문  *목사= 사관  *교인= 군우  *장로= 정교  *집사= 부교 

    *성찬식= 입대식  *학습= 예비병입대  *세례= 병사입대

     

    한국구세군 홈페이지 한국구세군 www.salvationarmy.kr/

     

Designed by Tistory.